(인천=뉴스1) 김도용 기자 = 여자 프로배구 흥국생명이 정관장의 거센 추격을 뿌리치고 6년 만에 통합 우승을 이뤘다. 이날 경기를 끝으로 현역 생활을 마무리하는 김연경은 마지막에 우승컵을 들어 올려 웃으며 코트와 작별했다.
흥국생명은 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정관장과의 2024-25 도드람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 최종 5차전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3-2(26-24 26-24 24-26 23-25 15-13)로 승리했다.
2연승 후 2연패를 당했던 흥국생명은 최종전 승리로 3승 2패를 기록, 2018-19시즌 이후 6년 만에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더불어 통산 5회 우승을 기록하며 최다 우승 부문 1위를 이어갔다. 공동 2위인 현대건설, 기업은행, GS칼텍스, 정관장(이상 3회)과 격차도 벌렸다.
이번 우승으로 흥국생명은 최근 3차례 챔피언 결정전에서 흘렸던 눈물을 닦는 데 성공했다. 흥국생명은 최근 4시즌 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챔피언결정전이 취소된 2021-22시즌을 제외하고 3차례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지만 모두 준우승에 그친 바 있다.
지난 2005-06시즌 V리그에 데뷔, 올 시즌을 마치고 은퇴를 선언한 김연경은 V리그 통산 4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면서 현역 생활을 마무리했다.
주축 선수들의 줄 부상에도 불구하고 13년 만에 챔피언결정전에 진출, 2연패 후 2연승을 기록하며 사상 두 번째 역스윕에 도전했던 정관장은 준우승에 만족했다. 또한 정관장은 4번째 챔피언결정전에서 처음으로 패배를 경험했다.
선수로 마지막 경기에 나선 김연경은 블로킹 7개를 잡아내며 34득점을 기록, 우승을 견인했다. 투트쿠 부르주(등록명 투트쿠)는 26득점으로 힘을 보탰다.
정관장 메가왓티 퍼티위(등록명 메가)는 37득점을 올렸지만 팀 패배에 고개를 숙였다.
정관장은 1세트 10-10으로 팽팽하던 중반부터 흥국생명의 리시브가 흔들린 틈을 놓치지 않고 득점을 올려 19-14까지 점수 차를 벌렸다.
흥국생명은 리시브가 흔들린 정지윤을 대신해 김다은을 투입했는데, 교체가 적중했다. 김다은이 투입 직후 득점을 올리며 정관장 흐름을 끊었다. 이후 투트쿠의 서브에이스, 피치의 블로킹이 나오면서 흥국생명이 분위기를 가져왔다.

이후 흥국생명은 박수연의 날카로운 서브를 앞세워 22-21 역전에 성공, 경기를 듀스로 끌고 갔다. 24-24에서 상대 실책과 김다은의 블로킹으로 첫 세트를 따냈다.
반격에 나선 정관장은 2세트 초반부터 흥국생명 수비를 흔들면서 공격을 이어갔고 8-4까지 앞섰다. 이후 정관장은 메가와 박은진, 정호영 등이 골고루 득점하면서 24-21로 앞섰다.
하지만 1세트에서도 역전에 성공한 흥국생명은 2세트에도 무서운 뒷심을 자랑했다. 김연경의 득점에 이어 김수지가 블로킹을 잡아내면서 23-24까지 따라갔다. 이어 투트쿠가 블로킹을 잡아내며 승부를 듀스로 끌고 갔다.
흐름을 가져온 흥국생명은 김연경의 블로킹에 이어 오픈 공격 성공으로 2세트도 승리했다.
벼랑 끝에 몰린 정관장은 3세트 힘을 내며 12-5로 초반부터 크게 앞섰다. 흥국생명이 또 뒷심을 발휘해 승부를 듀스로 끌고 가며 역전에 성공하는 듯했다. 하지만 정관장은 상대의 실책에 이어 표승주의 공격으로 26-24, 한 세트를 만회했다.
기세를 높인 정관장은 4세트 초반 메가의 날카로운 서브로 흥국생명 리시브를 흔들며 13-5로 크게 앞섰다. 흥국생명이 전문 리베로 신연경, 김연수를 모두 빼고 도수빈을 임시 리베로로 투입하는 승부수까지 띄웠지만 효과가 없었다.
정관장은 메가를 비롯해 표승주와 반야 부키리치까지 득점에 가세하면서 25-23으로 승리, 경기를 최종 5세트까지 끌고 갔다.
5세트 들어서도 두 팀은 서로 점수를 주고받으며 12-12까지 팽팽한 경기를 펼쳤는데, 흥국생명의 뒷심이 강했다.
흥국생명은 투트쿠의 2연속 득점으로 14-12로 달아났다. 그리고 투트쿠가 마지막 15번째 득점까지 책임졌고, 흥국생명은 안방에서 우승 축포를 쐈다.
dyk060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