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1분기 OLED 모니터 출하량 175%↑…삼성전자 1위, LG전자 4위

올해 1분기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모니터 출하량이 전년 대비 175%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8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세계 OLED 모니터 출하량은 50만7000대로 전년 대비 175%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특히 27인치 UHD 모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2분기 출하량은 65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출하량은 전년 대비 81% 증가한 258만 대로, 전체 모니터 시장에서
1분기 OLED 모니터 출하량 175%↑…삼성전자 1위, LG전자 4위

D램값 반등, 트럼프 AI 수출 규제 폐기…K-반도체 '숨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폐기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범용 D램 가격이 5달 만에 바닥을 찍고 상승한 상황이어서 하반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트럼프 표' 새 규제안의 내용이 아직 깜깜이라 불확실성은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국가에 대한 수출 규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시그널을 보낸 만큼 '일단은 호재'라는 평가가 나온다.
D램값 반등, 트럼프 AI 수출 규제 폐기…K-반도체 '숨통'

美 관세 리스크에도 대형 디스플레이 2.6%↑…힘내는 韓 OLED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도 올해 대형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전년 대비 2.6%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년보다 성장률은 둔화하지만 국내 업체들이 주로 생산하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가 중국 업체들 중심인 LCD(액정표시장치) 대비 출하량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8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9인치 이상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출하량은 9억760만대로 전년보다 2.6% 증가할
美 관세 리스크에도 대형 디스플레이 2.6%↑…힘내는 韓 OLED

무협, 美 상무부에 한국산 반도체·의약품 관세 면제 요청

한국무역협회가 미국 상무부에 한국산 반도체와 의약품을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 대상에서 면제하고, 반도체 웨이퍼·스마트폰 등 반도체 파생 제품에 대해서는 이중 관세를 부과하지 말아 달라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했다.무협은 지난 7일(현지 시각) 수입 반도체 및 의약품에 대한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국가안보 위협 조사에 대응해 이런 내용을 담은 국내 무역업계 공식 의견서(Public Comment)를 미국 상무부에 전달했다고 8일 밝혔다.무역확
무협, 美 상무부에 한국산 반도체·의약품 관세 면제 요청

LG전자, 8400억 투자 인도 3번째 공장 착공…내년 말 에어컨 생산

LG전자(066570)가 인도 현지에 6억 달러(약 8400억 원)를 들여 기존 노이다 공장과 푸네 공장에 이은 세 번째 가전 공장을 착공한다. 세계 1위 인구 대국이자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인도에서 현지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가전 1위를 굳건히 하면서 국민 브랜드 입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8400억 투자…생산량 늘려 인도 '국민 브랜드' 가속LG전자는 8일(현지시간)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의 가전공장 건설 현장에서 착공식
LG전자, 8400억 투자 인도 3번째 공장 착공…내년 말 에어컨 생산

삼성전자 QLED TV, 獨 '리얼 퀀텀닷 디스플레이' 인증 획득

삼성전자(005930)는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TV가 독일 시험·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로부터 '리얼 퀀텀닷 디스플레이(Real Quantum Dot Display)' 인증을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네오(Neo) QLED 8K 2종(QNF990, QNF950) △Neo QLED 4K 4종(QNF90, QNF85, QNF80, QNF70) △QLED 4K 3종(QF8, QF7, QF6) 등 9개 시리즈다.퀀텀닷은
삼성전자 QLED TV, 獨 '리얼 퀀텀닷 디스플레이' 인증 획득

LG전자 로봇연구소장 "곧 1인1로봇 시대…휴머노이드 사업 준비"

백승민 LG전자(066570) 로봇선행연구소장(상무)은 7일 LG전자가 연내 출시를 앞둔 가정용 인공지능(AI) 로봇 'Q9'에 대해 "올 초부터 파트너사들에 (샘플을) 보내서 개발하고 있다"며 "앞으로 자율주행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백 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NFF) 2025에서 "2060년대가 되면 가정마다 휴머노이드 로봇을 보유한 1인 1로봇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LG전자 로봇연구소장 "곧 1인1로봇 시대…휴머노이드 사업 준비"

"트럼프2.0과 한국, 위기는 곧 재도약 기회"(종합2보)

'트럼프 2.0과 신(新)한국, 위기극복 해법 찾기'를 주제로 열린 서울 페어몬트 여의도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NFF) 2025'이 성료됐다.이영섭 뉴스1 대표는 개회사에서 "위기는 곧 기회라고 한다"며 "한자어 위기(危機)는 '위태로움'과 동시에 '전환의 기회'를 담고 있다. 지금 우리가 직면한 동시다발적 위기는 대한민국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 대표는 대한민국이 올해 여러 위기가
"트럼프2.0과 한국, 위기는 곧 재도약 기회"(종합2보)

美 관세 불확실성·수요 약화 우려…2분기 MLCC 시장 먹구름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를 둘러싼 불확실성 고조와 수요 약화로 올해 2분기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시장이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7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MLCC 공급 업체들은 무역 전쟁의 직접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기업과 최종 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올해 상반기 수급 상황이 악화했다.MLCC는 전자회로에서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해 주는 부품으로, 스마트폰, TV, 컴퓨터, 서버 등 거의
美 관세 불확실성·수요 약화 우려…2분기 MLCC 시장 먹구름

워터, 강원권 고속도로 휴게소 4곳에 급속 충전소 개소

전기차 급속 충전 네트워크 워터는 강원권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 4곳에 급속 충전소를 개소했다고 7일 밝혔다.이번에 개소한 충전소는 △내린천휴게소(양양·서울 방향) △평창휴게소(강릉 방향) △강릉대관령휴게소(인천 방향) 등 총 4곳으로 수도권과 강원 영동권을 연결하는 관광·물류 핵심 축에 위치한다.총 28기의 충전기를 설치했으며 이 중 23기는 350㎾급 초급속, 5기는 200㎾급 급속 충전기다. 350㎾ 충전기는 DC콤보 방식, 200㎾ 충전기
워터, 강원권 고속도로 휴게소 4곳에 급속 충전소 개소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