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뉴스1) 한귀섭 이종재 기자 = 강원 춘천 옛 주한미군 기지 '캠프페이지' 부지 개발을 두고 강원도와 춘천시의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
여중협 강원도 행정부지사는 19일 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춘천시가 하려는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은 발전계획에 부합하지 않다”면서 “상위계획인 종합계획과의 부합없이 계획 수립권자인 도지사의 계획변경 없이 사업 선정은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어 “10여년 동안 수많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공원으로 최종결정됐다. 따라서 강원도나 정부의 계획이면서 시민들과의 약속”이라면서 “지금 계획내용을 바꾸려면 동일한 수준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는 공원을 조성할 의무가 있고, 체계적인 공원조성을 위해서 2021년 중지된 마스터플랜을 조속히 재착수할 필요가 있다”며 “여기에 근화동 같은 주변 지역에 발전방안도 포함됐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도는 시에 캠프페이지 부지 개발을 위해 협의를 거쳐야한다고 주장한 데 이어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거론하면서 절차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춘천시는 이날 입장을 내고 “공모 선정 후 행정 절차가 이행되는 과정은 적법하다고 판단된다”며 “춘천시는 현재 갈등과 관련된 시민들의 피로도가 누적된 상황에서 이제는 지방행정의 성숙도를 제고할때라고 판단하고 있다있다”고 밝혔다.
이어 “개별적인 주장에 일일이 대응하기보다는 시정의 원칙과 방향을 유지하며 차분하게 대응해 나가겠다”며 “절차상 하자는 없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강원도와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원활한 행정 절차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춘천시는 지난 2023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혁신 지구 국가시범지구' 공모 사업을 통해 캠프페이지 부지를 활용하겠단 계획을 세웠고, 후보지로 선정됐다.
도시재생 혁신 지구는 대도시 및 지방 거점도시에 있는 대규모 유휴부지를 활용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시는 당시 아파트 개발을 놓고 지역사회와 정치권 등의 찬반 갈등이 이어지면서 최종 공모에 선정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사업 규모를 2조 7000억 원에서 3800억 원으로 축소해 도시재생 혁신 지구 공모사업에 재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오는 24일 시민공청회를 갖고 캠프페이지 부지 활용을 위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han12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