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김유승 전민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2.1% 오르며 석 달 연속 2%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2월보다 0.1%포인트(p) 확대됐다.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상승 폭이 6.3%에서 2.8%로 내렸으나, 식품업계가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가공식품은 3.6%,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지수가 2.4% 올라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특히 가공식품 품목 중 오징어채는 전년 동월 대비 40.3% 올랐으며, 맛김 17.3%, 김치 15.3%, 커피 8.3%, 빵 6.3%, 햄 및 베이컨은 6.0% 오르는 등 매서운 상승세가 나타났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까지 낮아졌다가 반등해 11월 1.5%, 12월 1.9%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 2.2%, 2월 2.0%에 이어 3월에도 2.1%로 2%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품목 성질별로 상품은 전년 동월 대비 1.7%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0.9%, 공업제품은 1.7%, 전기·가스·수도는 3.1% 각각 상승했다.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은 전년 동월 대비 3.6% 상승해 물가를 0.3%p 끌어올렸다. 2월(2.9%)보다 상승 폭이 0.7%p 커졌다.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특히 가공식품 품목 중 오징어채는 전년 동월 대비 40.3% 올랐으며, 차 25.3%, 맛김 17.3%, 김치 15.3%, 커피 8.3%, 빵은 6.3%, 햄 및 베이컨은 6.0% 등 전반적으로 높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환율 변동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국내외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등이 주요 상승 요인"이라며 "4월에도 라면이나 맥주 등 일부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예고된 만큼 실제 인상되면 수개월에 걸쳐 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했다.
석유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오르며 물가를 0.11%p 올렸다. 다만 국제유가 하락에 힘입어 상승 폭은 2월(6.3%)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 집세는 0.7%, 공공서비스는 1.4%, 외식은 3.0%,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3.2% 각각 상승했다.
특히 외식 품목 중 도시락(8.4%), 떡볶이(5.8%), 생선회(5.4%), 치킨(5.4%) 등에서 높은 오름세가 보였다.
가격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해 물가의 추세를 잘 나타내는 근원물가지수는 112.52(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이는 전월과 같은 수준이다.
또 다른 근원물가지수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14.37(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올라, 전월(1.9%)보다 0.2%p 확대됐다.
'장바구니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19.47(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이 중 식품은 2.8%, 식품 이외는 2.3% 각각 올랐다.
계절 및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38.58(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했다.
이 중 신선어개는 3.6%, 신선채소는 1.8% 각각 상승했지만, 신선과실은 6.1% 하락했다.
이 심의관은 "한국은행 등 여러 기관의 올해 물가 상승률 예상치인 1.8~2.0%보다 약간 높지만 변동성이 심한 품목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1%대 후반으로 나오는 만큼 안정적인 수준"이라며 "다만 향후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