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권형진 교육전문기자 강승지 기자 = 의과대학 학생들이 등록 후에도 수업을 거부하는 가운데 13개 의대에서 본과 4학년의 유급 시한이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물론 의대 학장들도 '학칙 준수' 입장을 거듭 밝히면서 집단 유급이 현실화하고 있다.
15일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의대 본과 4학년의 유급이 결정되는 대학은 총 32곳이다.
13개 의대는 이날까지 수업에 불참한 본과 4학년의 유급이 결정됐다. 유급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 고려대·연세대를 비롯해 고신대·대구가톨릭대·동아대·부산대·서울대·아주대· 울산대·인하대·전북대·충남대의 유급 시한이 지났거나 이날까지다.
16일에는 전남대, 17일에는 차의과학대(의학전문대학원)의 유급 시한이 도래한다. 18일이 유급 시한인 의대는 경상대·경희대·순천향대·조선대 4곳이다. 전국 40개 의대 중 거의 절반인 19곳의 유급 시한이 18일까지 찾아오는 것이다.
21일에는 가천대·가톨릭관동대·을지대·원광대·인제대 등 5개 의대의 유급 시한이 도래한다. 한림대와 한양대는 22일, 가톨릭대는 26일, 경북대·계명대·영남대는 28일, 충북대는 29일, 동국대는 30일이 유급 시한이다.
의대는 보통 수업 일수의 3분의 1 혹은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F 학점으로 처리하고, 한 과목이라도 F 학점을 받으면 유급된다.
유급 결정은 통상 학기(학년) 말에 이뤄지며, 결정 전에 소명 절차가 진행된다. 하지만 올해는 유급을 최소화하기 위해 학교마다 유급 시한이 도달하는 시점에 유급 예정을 통지할 예정이다.

상당수 의대에서 유급 처리 절차를 시작했지만,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가 저조해지자 KAMC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다시 한번 복귀를 설득했다.
KAMC는 입장문에서 "학생들의 역할은 수업에 참여해 정부가 2026년도 모집정원 3058명을 빠르게 선언하도록 하고, 올바른 의료환경을 만들기 위한 예비의료인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거버넌스를 함께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교육부, 의총협은 2025학년 학사운영은 학칙 준수가 기본 방침이며 학사 유연화 계획이 없음을 여러 번 확인했고 의대와 학장은 이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며 "각 학교 학칙에 따라 유급이 결정되니 학생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KAMC는 특히 "의대 학사 정상화라는 정부 목표는 확고하며 이는 새 정부 출범과 무관함을 인식해야 한다"며 "정치적 상황이 학사유연화 등의 여지를 열어줄 수 있다는 판단은 정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본과 4학년에 대해서는 "각 대학이 정한 복귀 시한을 넘기면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는 불가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각 대학에서 정한 1학기 성적 마감 시점까지 임상실습과 평가가 마무리되지 못해 유급이 결정되면 의사 국가시험 원서접수가 불가하다"는 것이다.
KAMC는 "2025학년도 1학기 유급 시한 전에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24학번, 25학번 입학생의 분리 교육은 불가하거나 의미가 없다"며 "정해진 수업 참여 기한을 넘겨 후배의 미래와 의사 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모두 숙고할 것을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jinn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