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유진 기자 =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들이 전부 등록을 마치긴 했지만 등록 후 수업 거부, 휴학계 제출 등의 방식으로 투쟁이 이어지고 있다.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첫 단계인 학생 전원 등록이라는 목표는 달성했지만, 수업 참여율이 관건으로 떠오르면서 대학 측과 교육부, 의대생 간의 줄다리기가 계속될 전망이다.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기 위해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제시했던 교육부는 대학별 수업 진행 상황을 살핀 뒤 의학 교육계와 종합적으로 논의 후 조만간 모집인원 조정 방향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2일 대학가에 따르면 4일까지인 등록 시한 내 등록금 납부 거부 의사를 밝혀 제적 위기에 처했던 인제대 의대생 370명은 전날 밤 복귀 의사를 밝혔다.
교육부는 3월 31일 기준 전체 의대생 96.9%가 복귀했다고 발표하며 인제대 의대생 74.6%가 등록 거부 의사를 밝혔다고 했다.
인제대 의대 학생회는 이같은 교육부 발표 이후 전격 등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유일하게 미등록 방침을 고수하던 인제대 의대생까지 복귀하면서, 제적 처리된 2명과 군 휴학자 등을 제외한 전국 40개 의대생 전원이 복귀했다.
유급이나 제적 등을 피하기 위해 의대생들이 복귀하긴 했지만, 여전히 등록 후 수업 거부와 휴학계 제출은 이어지고 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 따르면 1학기 수업에 참여한 의대생은 3.87%에 불과하다.
의대협이 15개 대학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응답자 6571명 중 수업을 듣는 학생은 254명(3.87%)이었다. 가장 수강률이 낮은 대학은 가천대로 0.41%에 그쳤다.
의대협은 "'전원 복귀'라는 기사가 많았지만 결국 어디에도 학생들이 가득 찬 교실 사진은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앞으로도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대학들은 당분간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의대가 있는 서울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당분간 온라인 강의를 계속 열어둘 것"이라며 "다시 수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시간이 조금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수업을 듣는 학생의 학습권이 침해당하지 않도록 대학들에 공문을 보내 엄정 대응을 당부했다.
교육부는 의대생 복귀 시한인 지난달 31일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명의로 '교육부 의과대 학생 보호·신고센터 안내 협조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발송해 "정부는 다른 학생의 학습권 침해 행위에 대해 수사 의뢰 등 엄정히 대응하고 있다"고 안내했다.
그러면서 "(미복학·미등록 인증과 같은 집단행동 강요 등) 학생 피해 사례를 학교 측이 인지할 경우 책임소재를 명확히 해 엄정하게 조치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rea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