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한재준 박재하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싱크탱크인 '성장과 통합'이 16일 출범했다. 성장과 통합은 이 후보에게 대한민국 경제 성장 동력을 회복하는 다양한 정책을 제안할 예정이다.
성장과 통합은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출범식에는 김민석 민주당 수석최고위원 등 당 지도부와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을 비롯해 창립 회원 500여 명이 참석했다.
상임 공동대표는 유종일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과 허민 전 전남대 부총장이 맡았다.
김양희 대구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장병탁 서울대학교 AI연구원장, 김진아 한국외국어대 언어외교(LD)학부 교수는 공동 대표로 참여한다.
상임고문단에는 김호균 명지대 명예교수, 이종원 일본 와세다대 명예교수 등이 이름을 올렸다.
성장과 통합은 이날 2030년까지 △잠재성장률 3% △세계 4대 수출강국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3·4·5 성장전략'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제조업의 인공지능(AI) 대전환, 에너지 공급망 혁신, 전략적 첨단산업 육성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유종일 상임공동대표는 "AI 기반 기술혁신과 에너지 대전환을 통해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데 정책 개발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첨단 과학 기술과 주력 산업 분야에서 정부와 기업이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해 경제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면 경제위기 극복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산업의 강점인 제조업을 혁신해야 성장 동력을 회복할 수 있다"며 "AI 대전환을 전 산업에 접목해 생산성을 높인다면 성장 과정에서 보다 많은 기회를 만들고 성장의 과실을 고루 분배하는 성장과 통합의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성장과 통합은 국가 성장 전략은 물론 기후 위기 대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안에 있어 34개 분과로 조직을 나눠 정책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과 이억원 전 기획재정부 차관, 조현 전 외교부 차관, 임서정 전 대통령실 일자리수석비서관, 박기영 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양성일 전 보건복지부 차관, 김현환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이덕행 전 통일부 기획조정실장, 여운태 전 육군참모차장 등 전직 관료 출신들이 분과위원회에 대거 참여한다.
성장과 통합은 대한민국의 성장 엔진을 확보하는 정책 구상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 후보의 트레이트마크인 기본소득도 후순위 과제로 미뤄놓기로 했다.
유 상임대표는 이날 "조세 기반의 기본소득은 여건도 안 되고, 우선순위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허민 상임대표는 "성장 위주로 나오는 경제 정책을 포함해 국민 통합과 지역 균형, 수도권과의 모든 통합을 이룰 것"이라고 했다.
부동산 정책에 있어서는 시장 원리에 충실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유 상임대표는 부동산 정책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모든 경제 정책은 시장 원리에 어긋나지 않아야 성공할 수 있다"라며 "시장과 맞서 싸우는 정책은 선한 의도에서도 성공하기 굉장히 어렵다. 과거의 정책 접근과는 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공급과 관련해 "지금 당장 삽을 뜰 수 있는 공급 대책. 공공은 공공대로, 민간에는 참여 인센티브를 주는 효과적이고 신속한 공급을 집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hanantwa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