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항=뉴스1) 한상희 손승환 기자 = 국민의힘은 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예외 없는 25% 관세 부과 결정에 대응하기 위해 철강산업 지원 법안을 조속히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경북 포항의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철강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국가전략기술 및 원천기술 세액공제율 확대, 국내 철강 공급망 강화를 위한 원산지 규정 확대 등 각종 지원책이 담긴 철강산업 지원안을 속히 발의하겠다고 약속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철강 산업은 국가 기관 산업인 만큼 국가 차원의 보호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수입산 철강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의 철강 가격 상승과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며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 같이 관세를 협상 도구로 활용할 가능성도 높다. 여전히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국내 철강 산업에 피해를 주는 중국산 철강 후판에 있어 최대 38%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서는 "중국산 철강의 저가 공세에 대응하고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그는 "급변하는 무역 질서에 제도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기술력 신장이 중요하다"며 "저탄소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하고 미래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과 유럽연합(EU)처럼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및 실증 상용 설비 투자를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최근 대한민국 철강산업 환경이 굉장히 좋지 않다"며 "미국의 25%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오는 12일부터)되기도 전인데 수출 실적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중국산 조강제 국내 (유입에) 관한 가공 수출과 외국인 근로자 문제 등 (여러 현안을) 정부 측과 협의해서 해결책을 제시하겠다"고 약속했다.
포스코 측은 정부·여당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희근 포스코 대표이사는 "지금의 우리나라 철강 산업은 글로벌 철강 경기 침체와 중국 철강 공급 과잉에 따른 잉여 물량 제품 유입, 탈탄소 전환, 트럼프 2기 출범 등 참으로 어려운 상황 직면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세계 각 나라는 자국의 철강 산업을 지키기 위해 각종 관세 장벽과 연구 투자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렇게 어려운 때일수록 기업과 국회, 정부 간 긴밀한 협력 체제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ngela020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