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원태성 임윤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5일 '이재명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 당시 민주당 의원 상당수가 찬성표를 던진 것과 관련해 "검찰과 (당내 비이재명계가) 짜고 한 짓"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날 공개된 유튜브 '매불쇼'에서 "검찰이 수사 과정에서 벌인 일, 타임 스케줄에 따라 한 일 등과 당내에서 움직이며 내게 비공식적으로 요구한 것, 협상안으로 제시한 것을 맞춰 보니 다 짜고 한 짓"이라며 "짰다는 증거는 없고 추측이긴 하지만 대충 (시기가) 맞더라"라고 말했다.
2023년 9월 본회의 표결에 부쳐진 이 대표 체포 동의안 표결에서 당내 이탈표가 대거 나와 가결됐다. 그러나 법원이 영장을 기각해 이 대표가 실제 구속이 되지는 않았다.
이 대표는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예상한 일이었다"며 "6월에 민주당에서 유력한 분을 만났는데 그분이 저한테 '사법 처리가 될 거니까 당 대표를 그만둬라. 그만 안 두면 일이 생길 것 같으니 본인을 위해서나 당을 위해서나 사퇴를 하라'며 시점까지 정해줬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게 나중에 보니 (검찰의) 영장 청구 시점과 거의 맞아떨어졌다"며 "그땐 추측만 했는데 나중엔 거의 확신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당시 자신이 받았던 요구 내용과 관련해 "(당 대표직을) 사퇴하면 봐 준다, 사퇴 안 하면 영장에 동의해서 구속시킨다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이 대표는 요구사안을 거절했다고 말했다. 그는 "구속되면 옥중에서라도 사퇴하지 말아야지 등의 계획도 세웠다"며 "지도부와 논의해 비상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서 대비 안을 마련해 놓았는데 예상한 대로 가결이 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가결표를 던진 민주당 의원에게는)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민주당을 사적 욕구의 도구로 쓰고 상대 정당이나 폭력집단과 암거래를 하면 당이 뭐가 되겠냐"며 "그래서 구속 가능성이 높아지는 위험을 감수하고 부결을 요청해서 가결 동의자를 최소화하고, 거기에 대해 당과 국민이 책임을 물을 것이라 본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총선에서 그게 다 드러나서 정리가 되면서 결국 그렇게 됐다"며 "제가 그들을 구체적으로 제거하지는 않았지만 책임을 물어야 그게 민주정당"이라고 덧붙였다.
kha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