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뉴스1) 김지혜 기자 = 임상섭 산림청장이 31일 지난 22일 발생해 931ha를 태운 울산 울주 대형산불 현장을 찾아 피해 현황을 점검했다.
이날 임 산림청장의 울주 산불 피해 현장 점검에는 김두겸 울산시장, 양산국유림관리소장, 이순걸 울주군수, 울산시 녹지정원국장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김두겸 울산시장은 "정부와 협업해 신속히 피해조사를 실시하겠다"며 "단기적으로 피해자 생계 지원에 힘쓰고, 장기적으로 산불헬기 구입, 임도 개설, 송전탑 하부 입목제거 등을 통해 산불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주불 진화에는 헬기 진화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느끼며, 헬기 외 인력이 투입해 불을 끄기 위해서는 임도개설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도가 없으면 진화 자체가 어렵고, 임도를 개설하게 될 경우 방어선과 대피선의 역할을 하고 진화의 효율성도 획기적으로 높여줄 것"이라며 "모든 산에 임도를 설치하는 방안을 정부에 제안하고,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며 임도 개설에 대한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또 김 시장은 산림청장에게 "울산의 경우 산단 근처에서 산불의 발생하게 될 경우 재앙"이라며 "울산시에서도 자체 헬기 1대를 추가적으로 자체 보유하기로 했지만, 산림청에서 헬기 확보를 늘리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울주 대형 산불에서 다행인 점은 주민들 인명피해가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울산시는 이번 산불 진화에 헬기 총 74대(일 평균 7~16대), 인력 총 9983명(일 평균 1664명), 장비 총 433대(일 평균 40~90대) 등을 총동원하며 전방위적인 진화 작업을 벌였다.

또 민가로의 불길 확산을 위해 산불 인근 330세대에 한해 '한 집마다 소방차 1대'를 배치해 재산피해도 폐가1건, 농막1건, 축사1건 등 총 3건에 그쳤다.
울산시와 울주군은 잔불 진화를 마치고 피해 산림을 하루 빨리 복원하고, 산불 지역 구호를 위해 신속한 피해조사 이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울산시는 산불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울주군 주민과 산불 대응요원의 정신건강을 위해 심리상담 지원에 나선다.
시는 피해 군민을 대상으로 심리 상담을 실시한 뒤 위험군으로 선별된 주민은 전문 상담기관 연계 등 필요한 조치도 이어갈 예정이다.
또 이순걸 울주군수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피해 접수 이후에 구호금과 생계비, 주거비 등 생활 안정 지원을 비롯해 임시주거시설 제공 등 구호 지원과 국세, 지방세 경감, 소상공인 자금 융자 등 간접 지원도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온양읍 산불은 지난 22일 오후 12시 12분께 발생해 산림 약 931ha를 태우고 128시간 만인 27일 오후 8시 40분께 주불 진화됐다.
joojio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