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뉴스1) 김지혜 기자 = 최근 울산에서 2개 대형 산불이 발생해 총 994ha(온양 산불 931ha, 언양 산불 63ha)의 산이 소실됐다. 축구장 약 1400개 규모다. 이와 관련해 김두겸 울산시장이 '임도 개설'을 산불 진화의 핵심 해결책으로 내밀며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
김 시장은 앞서 26일 열린 브리핑에서 "이번 산불을 겪으면서 앞으로는 모든 산에 임도를 닦아야겠다고 느꼈다"며 "울산시에서 국공유림 외 산주와 협의를 거쳐 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겠으니, 산림 보호를 위해서라도 정부가 적극 지원하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산불 진화 이후 진행된 피해지 현장 보고회에서도 "젊은 남자들도 무거운 물집을 지고 가파른 산길을 올라가는 데 한계가 있다"며 "임도를 가꾸는 것이 산불 방어선 역할도 할 것이고, 대피선도 될 것"이라며 "주불, 잔불 진화 모든 상황에서 효율성을 높여줄 것"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임도가 없으면 진화 자체가 안된다. 임도 개설을 못하면 100년 나무를 가꿔도 헛수고"라며 "산림보호를 위해서라도 임도개설이 필수"라고 거듭 강조한 바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전국 국공유림에 개설된 임도 2만6785㎞중 울산 지역 임도는 219.3㎞로 전체 8%에 불과하다.
또 울산 산지 1ha당 개설된 임도 길이를 나타내는 임도 밀도도 3.2m로 전체 평균인 4.25m에 비해서도 현저히 떨어진다.

그러나 아직 산불 진화 이후 피해 현황 파악 등 초기 대응 단계로 향후 임도 개설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방침이 나오지는 않고 있다.
또 비용적인 측면으로 예산 확보가 필수적이고, 대부분의 산지가 사유지라 소유주를 설득할 법적인 근거를 충족할 법 제정이 우선돼야 한다.
울주군 관계자는 "간선임도 기준 ㎞당 비용이 2.1억원 정도로 지형이 가파를수록 산사태 유발 가능성이 커져 최대한 능선에 따라 임도를 개설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비용적인 측면은 더욱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임도 개설, 산불방지 예산 등 산불 관련 예산은 대부분 중앙부처에서 국비지원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산불 이후 중앙부처에서 산불 관련 예산을 어느 정도 확충할지는 지켜봐야 한다.
또 비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산 대부분이 개인 사유지로 소유주를 설득하는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 관계자는 "소유주 다수가 '내 산에 누군가 들어오는 게 싫다'는 이유로 반대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 역시 "소유주들을 설득하고, 지자체 차원에서도 임도 개설을 가능하게 하는 법 개정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joojio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