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A 씨는 봄이 오는 게 두렵다. 봄이 오며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심각해졌기 때문이다. 아침마다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콧물이 흐르고 밤에는 코가 막혀 잠을 이루지 못해 다음날 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6일 신재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은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봄철에 증상이 악화할 수 있는데 조기 치료와 지속적인 관리만이 고통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반려동물 털 등에 면역계가 과민반응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15~20%가 이 질환을 앓고 있다. 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진단율이 2012년에 비해 2022년 4.4% 증가했다. 환경오염, 미세먼지 증가 등의 요인이 알레르기 비염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알레르기 비염은 통년성과 계절성으로 나뉜다. 통년성 비염은 1년 내내 코감기와 같은 증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주로 집먼지진드기와 같은 실내 알레르기 유발 물질로 인해 발생한다. 계절성 비염은 계절별로 증상이 나타나며 봄철에는 꽃가루가 주요 원인이며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이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질환이다. 부모 중 한 명이 천식이나 아토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다면 자녀의 발병 우려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지만, 평소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특정 환경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기도 한다.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 증상으로는 콧물, 코막힘, 재채기가 있다. 일반적인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구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급성 질환으로 대개 1~2주 내 호전된다. 반면 알레르기 비염은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부비동염, 삼출성 중이염, 수면무호흡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어린 환자들의 경우 구강으로 호흡하는 습관으로 인해 얼굴 변형이나 치아 부정교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과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도움 되며 원인 물질과의 접촉을 피할 수 없다면 약물요법을 쓸 수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 비강 내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등이 있고 증상에 따라 혈관수축제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원인 물질에 대한 면역계를 점진적으로 조절해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는 면역치료법은 3~5년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신 교수는 "봄철에는 특히 코세척을 추천한다. 코세척은 코점막의 섬모 운동을 활발하게 도와주고,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항원 물질을 씻어내는 데 도움 된다"며 "멸균된 생리식염수나 끓여서 식힌 물에 적절한 농도의 소금을 녹인 식염수를 이용해 매일 코세척을 하면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ur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