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유럽연합(EU)이 앞으로 90일 동안 미국 관세에 대비하는 브레인스토밍에 나선다. 27개 EU 회원국의 재무경제장관들은 11~12일 만나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타결하는 방법과 더불어 협상 결렬 위험에 따른 관세 인상을 어떻게 상쇄할지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익명의 EU 고위관리는 로이터에 미국의 상호관세가 90일 유예됐다는 사실은 매우 도움이 된다며 "이제 전략을 세울 수 있고 미국과 거래할 무역이 없어질 경우를 대비해 90일 동안 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EU는 모든 공산품에 대해 무관세를 미국에 제안했고 미국과의 무역협상이 타결된다면 문제는 해결된다.
하지만 합의가 결렬될 가능성도 위험에도 대비해야 하고 최대 타격을 입을 산업부문을 27개국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지도 조율해야 한다. 미국의 관세 인상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산업은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목재, 제약이다.
EU 경제 전반을 보면 미국 관세는 EU 총생산의 0.5~1.0%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유럽중앙은행(ECB)은 추산한다. ECB에 따르면 올해 EU 경제 전체는 0.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미국 관세로 EU 경제는 침체에 빠질 수 있다.
미국 관세인상이 현실화하면 각국 정부의 대응도 사전 조율해야 한다. 일부 회원국은 공공재정이 탄탄하고 기업을 지원할 여력이 있지만 그렇지 못한 회원국도 있다. 따라서 단일 EU 시장에서의 공정한 경쟁을 왜곡하지 않을 수준으로 정부 지원이 조정되어야 한다.
익명의 EU 고위 관리는 로이터에 "모든 회원국이 동일한 재정적 여유가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단일 시장에 해가 되지 않는 방식으로 국가별 대응을 논의하고 조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역 분쟁에서 EU라는 단일 시장은 큰 자산이지만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관세로 작용하는 규제를 줄여야 한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EU 내의 무역장벽은 상품에 44%, 서비스에 11% 관세를 부과하는 것과 같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추정한다.
미국 관세에 대한 주요 대응책으로 이러한 EU 무역장애물을 줄이는 데에 EU 장관들은 주력할 것이라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shinkir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