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닫은 단양군의회' 5분발언 1~2건 불과…'0건' 의원도

정책지원관 제도 무색…시민단체 "견제 세력 없는 게 문제"

본문 이미지 - 지난해 11월 제331회 단양군의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뉴스1
지난해 11월 제331회 단양군의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뉴스1

(단양=뉴스1) 손도언 기자 = 충북 단양군의회 5분 발언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특정 의원은 지난해 단 한 차례도 하지 않았다. 사실상 '침묵 의정활동'을 펼쳤다는 지적이다.

2022년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지원관 제도가 마련됐는데도 군의원들은 도움을 받지 않았다.

5분 발언은 의정활동의 백미로 꼽힌다. 이 발언은 지역 현안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 제시, 지역민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매우 중요한 시간이다.

의원들은 5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의견이나 대안 등 굵직한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흥행을 이끌기도 한다.

그러나 군의원들은 지난해 한 해 동안 5분 발언을 사실상 외면했다.

3일 단양군의회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2월 말까지 총 11회(원포인트 포함)에 걸쳐 정례회와 임시회를 열었지만 7명의 군의원 중 6명이 5분 발언을 했고, 1명은 아예 입도 떼지 못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5분 발언에 나선 B 의원은 2회, C 의원 1회, D 의원 2회, E 의원 1회, F 의원 2회, G 의원 1회뿐이다. 대부분 의원들이 1~2회만 했다.

그러나 A 의원은 5분 발언 '0' 건으로 아예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단양군의회 관계자는 "의원들의 5분 발언 횟수는 해마다 비슷한 수준"이라며 "5분 발언이 저조했다면, 다른 방향에서 의정활동을 강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선영 충북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충북도의회나 청주시의회의 경우 의원들이 5분 발언을 서로 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며 "반면 단양군 의원들은 고작 1~2건에 불과해 아주 부족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군의원들을 견제하는 단체가 없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며 "눈치 보기 의정활동이 아닌, 군민들과 함께하는 의정활동을 펼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단양군의 한 군민(50대)은 "9대 군의원들은 외형적으로 요란하게 의정활동을 펼친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은 조용한 의회였다"며 "말로만 의정활동을 하지 말고 현장에서 뛰고, 듣고, 배우는 군의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55so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