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청사가 시민 친화적 휴식 공간을 넘어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다.
광주시는 2월 중 청사 1층 동측 진입부를 전면 리모델링해 '개방형 다목적 공간'으로 만드는 '열린 청사 1-2단계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개방형 다목적 공간은 로컬푸드 직매장과 희망 장난감도서관 등이 있는 청사 동측 진입부에 100평 규모로 조성한다.
200인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시민이 참여하는 각종 행사와 지역 예술가·시민 작품 전시회, 토크·북 콘서트, 버스킹, 경기 응원 등 규모 있는 다양한 행사 공간으로 활용한다.
이달 중 착공해 3월 말 준공하며 개관 첫 행사로 4월 도서관 문화한마당을 열고 5월에는 시민의 날 행사를 개최한다.
기존에 있던 로컬푸드 직매장은 운영업체인 서광주농협의 폐점 결정에 따라 철거한다. 희망 장난감도서관은 맞은편에 있는 당직실로 자리를 옮긴다. 당직실은 특광역시 최초로 시행한 '직원 당직제 폐지'에 따라 공실 상태였다. 동측 청사 출입문도 기존 2곳에서 1곳으로 일원화한다.
시는 명예의 전당 이전, 청원경찰 휴게실 확장 등도 추진한다.
명예의 전당은 시민 대상 수상자 등 사회공헌자들의 현판이 전시된 곳으로 당직실 맞은 편에 있던 것을 3층 대회의실 앞에 별도 공간을 마련해 이전한다.
대회의실이 각종 행사가 열리는 곳인 만큼 보다 많은 시민에게 사회공헌활동을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청원경찰 휴게실은 43㎡에서 68㎡로 늘리고 근무 공간도 11㎡에서 22㎡로 2배로 확장한다.
광주시는 앞서 청사 내·외부 리모델링을 통해 벌집 테마 공간, 중앙 다목적 공간, 계단형 쉼터 공간 등을 조성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개방, 큰 호응을 얻었다.
청사 리모델링은 계획 단계부터 냉난방기, 출입문, 전등 설비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자재의 재사용을 원칙으로 추진했다.
이수빈 회계과장은 "단순한 공간 재배치가 아닌 시민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쾌적하고 효율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개방형 다목적 공간이 다양한 문화·소통·교류의 장으로 활용돼 시민에게 친근한 열린 행정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nofatejb@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