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가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의 관세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던 영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이 제기됐다.
BBC는 30일(현지시간) 영국 총리실 소식통을 인용해 영국이 필요하다면 미국 관세에 보복 조치를 취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앞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의 발언과는 상반된다. 스타머 총리는 이번 주 영국은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뛰어들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영국 정부는 미국과 집중적인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실용적이고 분명한 시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의 보복 조치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은 미국과의 협상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미국의 자동차 관세는 영국에게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자동차 제조업체 및 무역협회(SMMT)에 따르면, 영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연간 약 76억 파운드로 영국에게 미국 자동차 시장은 유럽연합(EU)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 외국산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관세는 4월 2일부터 발효된다. 또한 4월 2일에는 상호관세도 발표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서 영국과 유럽연합(EU) 고위 외교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영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스타머 총리가 강하게 반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킨 다로크 전 주미영국대사는 영국 옵서버와의 인터뷰에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의 경험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카니 총리가 보복관세를 예고한 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완화됐다는 점에서 영국도 강하게 나갈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다로크 전 대사는 "영국산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미국의 매우 나쁜 관세에 직면해 영국 정부가 디지털세 인하와 같은 양보를 고려하는 것은 이해할 만하다"면서 "그러나 트럼프에게 성과를 안겨주는 데 신중해야 한다. 관세는 트럼프가 모든 상황에서 사용하는 강압 수단으로 효과를 본다면 반복해서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앙 발레 드 알메이다 전 주영·주미 EU대사도 영국이 EU처럼 보복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면서도 "스타머 총리는 최소한 관세를 비판해야 한다. 관세는 모두에게 좋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영국의 보복 방식은 현재로선 불분명하다. 영국은 미국에 중요한 산업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거나 할리 데이비드슨 오토바이 같은 특정 상품을 겨냥하는 등의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고 BBC는 전했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