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세계에 관세 부과, 亞증시 일제 급락…美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워싱턴으로 돌아가는 에어포스원 전용기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3.30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종일 선임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워싱턴으로 돌아가는 에어포스원 전용기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3.30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종일 선임기자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고, 미국의 유력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관세율이 20%로, 당초 예상(15%)보다 높을 것이라고 보도하자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락하는 것은 물론,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상화폐)도 모두 급락, 전 세계 자본시장이 또다시 홍역을 앓고 있다.

정작 미국 시장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일단 미국증시도 급락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증시의 지수 선물은 31일 새벽 3시 현재(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다우는 0.48%, S&P500은 0.75%, 나스닥 선물은 1.24% 각각 하락하고 있다. 선물이 1% 이상 하락하는 것은 이례적으로, 낙폭이 상당히 큰 편이다.

본문 이미지 - 심각한 표정의 미증시 트레이더.  ⓒ 로이터=뉴스1
심각한 표정의 미증시 트레이더. ⓒ 로이터=뉴스1

앞서 마감한 아시아 증시는 일제히 급락, 마감했다. 일본의 닛케이는 4.05%, 한국의 코스피는 3.00% 각각 급락했다. 마감 직전인 홍콩의 항셍은 1.31% 하락하고 있다.

본문 이미지 - 모든 상장 종목의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31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개장 시황이 표시되고 있다. 2025.3.31/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모든 상장 종목의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31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개장 시황이 표시되고 있다. 2025.3.31/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유럽증시도 영국의 FTSE가 0.18% 하락하는 등 하락 출발하고 있다.

오늘은 아시아 증시와 유럽증시가 먼저 매를 맞은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증시도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수입 물가가 올라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 고물가 경기침체인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미국 인플레이션율은 관세 폭탄 부과 전에도 상당히 끈적끈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말 발표된 연준이 가장 주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8% 상승, 연준의 목표치 2%를 크게 상회한 것은 물론, 13개월래 최고 수준을 보였다.

본격적인 관세 부과 전에도 미국 인플레이션이 이미 강력한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트럼프가 관세 폭탄을 터트리면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걷잡을 수 없이 올라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미국 경기침체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세계 최고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이날 보고서를 내고 미국 경기가 침체에 빠질 확률을 기존의 20%에서 35%로 상향했다.

본문 이미지 - 골드만삭스 로고.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골드만삭스 로고.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이뿐 아니라 WSJ은 트럼프의 관세 폭탄 남발로 미 증시의 변동성이 극대화하자 미국 투자자들이 자금을 미국 증시에서 빼내 중국 등 이머징마켓(신흥시장)과 유럽증시로 이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국증시는 하락이 불가피해 보인다. 중요한 것은 낙폭이다.

미증시가 적당히 하락하면 먼저 매를 맞은 아증시는 내일 다시 반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미증시가 급락할 경우, 아시아증시는 또다시 충격을 받을 전망이다.

sinopar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