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1) 이지예 객원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시작으로 전 세계가 25% 관세 전쟁에 돌입할 경우 글로벌 경제가 1조4000억 달러(약 2060조 원) 상당의 타격을 입을 수 있으며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나라는 미국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일(현지시간) 영국 애스턴대학이 진행한 6가지 무역 전쟁 확전 시나리오 연구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연구진은 △미국이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캐나다, 멕시코, 중국이 똑같이 맞대응하는 경우 △미국이 유럽연합(EU)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EU가 미국에 25% 맞관세를 매기는 경우 △미국이 모든 국가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모든 나라가 똑같이 25% 맞관세로 보복할 경우 등 6가지 상황을 가정했다.
무역 전쟁 범위가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 중국 간 상호 대결로 제한될 경우 이들 국가 모두 무역이 30% 이상 급락한다. 다만 미국보다 멕시코, 캐나다의 피해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유럽으로 무역 전쟁이 번지는 3번째 시나리오부터는 상황이 반전돼 미국이 가장 큰 피해국으로 올라선다. 전면적인 글로벌 무역전쟁 상황에서 미국은 수출 66.2% 감소, 수입 46.3% 감소를 감당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전 세계적으로 무역 전쟁이 본격화할 경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측면에서도 미국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예상했다.
한국의 경우 무역 분쟁이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 중국 및 EU 사이에서 그친다면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과 EU의 상호 관세 시나리오에선 한국, 일본, 인도, 영국이 오히려 약간의 이익을 누릴 수도 있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이 모든 국가에 25% 관세를 매기고 각국이 똑같은 수준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은 미국, 멕시코, 캐나다, 일본에 이어 5번째로 수출입 피해가 큰 나라로 전망됐다.
연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관세 전쟁이 광범위한 무역 혼란과 가격 상승, 생활 수준 저하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했다.
준 두 애스턴대학 경제학 교수는 세계 각국이 서로에게 25% 관세를 부과하면 대공황을 심화시킨 1930년 무역 전쟁과 비슷한 여파가 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두 교수는 "연구 결과는 스무트홀리 법안(1930년대 미국의 고율 관세 법안) 같은 역사적 선례와 일치한다"며 "보호주의는 경쟁력 잠식과 공급망 파괴, 소비자에 대한 불균형한 비용 전가를 야기한다"고 말했다.
ez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