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미국 재무부가 1일(현지시간) 이란의 무기 조달에 관여한 이란·아랍에미리트(UAE)·중국의 개인 2명과 단체 6곳에 제재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와 법무부는 이들이 이란의 무인항공기(UAV) 프로그램에 관여하는 주요 제조업체를 대신해 드론 부품을 조달한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제재는 핵무기 개발을 중단하지 않으면 폭격과 2차 관세로 응징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위협에 이란이 "우리를 폭격하면 핵무장은 불가피하다"고 맞선 가운데 나왔다.
제재 대상은 이란 단체 1곳과 개인 2명, 중국 단체 1곳, UAE 단체 4곳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성명을 내고 "이란의 군산 복합체와 드론·미사일, 테러리스트 대리자들의 손에 들어가는 재래식 무기의 확산을 계속해서 방해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겠다고 미국과 합의하지 않으면 이란을 폭격하고 2차 관세도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다음날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의 선임 고문인 알리 라리자니는 국영 TV에 출연해 "우리는 핵무기를 지향하지 않지만 공격을 받는다면 다른 선택지가 없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란은 지난 2015년 미국·영국·중국·프랑스·독일·러시아와 핵 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를 체결해 우라늄 농축도를 3.67% 이하로 제한하고 탄도미사일 개발을 8년간 중단하는 조건으로 경제 제재를 해제 받았다.
하지만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뒤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며 합의가 사실상 무산됐고 이란은 우라늄 농축도를 가속하기 시작했다.
이후 서방 국가들은 이란이 고농축 우라늄으로 핵 능력을 개발하려 한다는 의혹을 끊임없이 제기했다. 이란은 자국의 원자력 프로그램이 전적으로 민간 전력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past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