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남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마지막 변론기일이 25일 오후 2시 시작된 가운데 탄핵 여부를 결정지을 비상계엄의 위헌·위법성을 놓고 양측이 최후진술에 나서는 등 막판까지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변론 시작 전 헌재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은 윤 대통령은 이날 재판 진행 상황을 지켜본 뒤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호송차를 타고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는 이날 오후 2시 11차 변론기일을 열고 윤 대통령과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의 최후 진술을 듣는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주말부터 나흘 연속 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 대통령을 접견해 마지막 변론 내용을 검토했다.
윤 대통령은 변론기일에 출석해 헌정사 최초로 직접 최후 진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의 진술 시간을 제한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문을 육필로 직접 작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어떤 메시지가 담길지, 대국민 사과가 포함될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3차 변론기일부터 9차 기일을 빼고 7차례 심판정에 직접 출석해 변론에 참여했다.
최후 진술에 앞서 증거조사와 윤 대통령 측·국회 측 대리인단의 종합변론이 각 2시간씩 이뤄진다.
윤 대통령 측은 '아무런 피해 없이 단시간에 끝난 경고·상징·평화적 계엄이었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할 것으로 보인다. 부정선거 의혹 등 그간 내세웠던 비상계엄의 정당성 주장을 반복할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반면 국회 탄핵소추단은 비상계엄의 위헌성과 불법성을 재차 부각할 계획이다.
비상계엄이 헌법상 요건과 절차에 어긋나 위헌·위법하고,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헌법기관에 군을 투입해 기능 정지를 시도·침탈한 데다 위반 정도가 중대한 만큼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 한다는 논리로 맞설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날 최후 진술은 시간제한이 없어 변론에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는 미지수다.
이번 탄핵 심판의 경우 양측 종합변론에만 총 4시간이 부여돼 국회와 윤 대통령 측의 대리인단이 번갈아 가며 발언할 경우 시간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여기에 증거조사와 최종 의견진술까지 더하면 이날 변론은 7시간을 넘겨 밤늦게 끝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hi_na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