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원장 "딥시크와 소통 중…개인정보 불안 요소 최소화"

'AI 스타트업 간담회' 참석…"오픈소스 이점 발휘되도록 지원"

본문 이미지 -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서 개최된 인공지능 스타트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개인정보위 제공) 2025.03.24/뉴스1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서 개최된 인공지능 스타트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개인정보위 제공) 2025.03.24/뉴스1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4일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있던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에 관해 "딥시크 측과 소통하면서 개인정보 불안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엔스페이스에서 열린 'AI 스타트업 간담회'에 참석해 "오픈소스 생태계는 과거부터 꾸준히 발전되어 왔지만, 최근 딥시크의 등장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픈소스는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소스코드나 설계도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방식을 말한다.

고 위원장은 "오픈소스는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도 고성능 AI 모델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해 과학 기술 발전과 응용 서비스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하는 혁신의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다"며 "오픈소스의 이점이 한국 시장에서 충분히 발휘되고 혁신적인 서비스 창출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I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오픈소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연구·활용한 주요 성과와 사례 등을 공유했다.

한편 간담회에 앞서 생성형 AI를 활용 중인 국내 10개 기업을 대상으로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한 경험이 있냐고 물은 결과, 9곳은 내부연구·성능개선·응용 서비스를 위해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6개 기업은 오픈소스 모델을 자체 보유한 이용자 데이터 등으로 추가 학습하거나 검색증강생성(RAG) 등을 통해 보강해 성능 개선에 활용한 경험이 있었다.

오픈소스 활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9개 기업은 평균 3개의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었다. 생성형 AI 모델 활용도는 챗GPT, 클로드, 라마, 딥시크 순으로 높았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간담회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스타트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생성형 AI 도입·활용 안내서'를 마련할 계획이다.

lgir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