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정률 이기림 기자 =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7일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와 관련해 "딥시크는 한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한국법 준수에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큰 틀의 관심과 긍정적인 메시지를 보냈다"고 밝혔다.
고 위원장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딥시크에 대한 제재 이후 중국 측과 소통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
고 위원장은 딥스크 국내 차단 이후 경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타임라인을 갖고 있지는 않다"며 "딥시크쪽이 스스로 정비하고 준비할 부분이 있다. (차단 해제가) 언제쯤이라고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딥시크는 개인정보위의 권고에 따라 지난달 15일부터 국내 앱 마켓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
다만 고 위원장은 딥시크를 비롯한 AI 오픈소스 서비스 개발은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 위원장은 "AI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해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만드는 것은 기본적으로 바람직하며, 저희도 그런 방향을 지지한다"며 "딥시크뿐만 아니라 라마(LLaMA), 미스트랄(Mistral), LG가 최근 발표한 모델 등 다양한 오픈소스 모델들이 존재하며, 이를 한국 시장과 소비자에 맞춰 서비스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물론 이런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 요소들에 대해 우리 위원회를 포함해 관련 부처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 위원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제재를 비관세 장벽으로 규정하고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밝힌 데 대해서는 "미국 정부에서 어떤 현안이 있었는지 수집·정리하고 있다"며 "관련 부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고, 실무자 선에서 준비 작업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jr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