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뉴스1) 김지혜 기자 = "그린벨트를 도시의 성장을 막는 걸림돌이 아닌 지방경쟁력을 높이는 돌파구를 만들어 나가겠다."
25일 김두겸 울산시장이 국토교통부 개발제한구역(GB) 국가지역전략사업에 울산 3개 사업이 선정된 것과 관련, 이같이 포부를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 사업 △울산 유(U)-밸리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성안·약사일반산업단지 조성 사업 등 3개소가 선정됐다.
시는 3개 선정 사업을 통해 약 20조의 생산유발효과와 13만여 명의 고용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브리핑에서 "기본 개발제한구역으로 인한 제재로 땅이 없어서, 땅값이 높아서 지역에서 사업을 포기하고 타지역에서 생산해서 다시 지역으로 재입점하는 현상은 지역 고려가 부족한 정책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지역에 맞춤형으로 그린벨트 해제를 해달라는 목소리를 계속 내왔고, 이를 계기로 울산에 있는 국토에 대한 이용권을 획득해 여러 형태로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은 기존의 테크노 산업단지를 남구 옥동과 두왕동 일원까지 확대하는 사업으로, 이번 GB 해제로 울산체육공원, 청년 창업 공간 등 공공시설을 확충해 정주 여건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울산시는 이차 전지 특화단지를 위해 온산국가산단을 확장하는 유(U)-밸리 국가산업단지조성사업에는 석유화학이나 비철금속같은 기존 주력산업에서 이차전지 원재료가 생산되는 만큼, 근거리에 특화단지를 조성해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성안·약사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산업단지가 전무한 중구에 저탄소, 친환경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는 그린 스마트 산업단지를 만들어서, 중구의 경제기반을 강화하고 청년 인구 유입에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이 제도는 지난해 2월 울산에서 개최된 민생토론회에서 처음 발표된 이후 울산시의 적극적인 설득 활동 끝에 얻어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고 울산시는 설명했다.
그동안 울산시는 전략사업 선정을 위해 국토부를 설득하고 부·울·경, 영호남 시도지사와 공동 대응하는 등 등 지속적인 노력을 쏟았다.
또 정부 차원에서 1, 2등급지를 환경 평가 구애받지 않고 활용할 수 있게 풀어준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선정된 3가지 사업 모두 울산의 미래 먹거리를 육성하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며 "GB 해제 후속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고, 투기 예방을 위해 사업 예정지를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 관리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또한 "아직 선정되지 못한 후보지는 내용을 보완해 국토부와 사전협의를 진행한 후 울산시 해제 권한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정부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대전·부산·광주 등 비수도권에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 전략 사업 15곳을 선정했다.
joojio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