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라이즈' 출범…지역·대학 동반 성장에 5년간 4225억 투입(종합)

올해 765억 원 투입…5월부터 5개 프로젝트 본격 추진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 라이즈 센터 지정 등 심의

오세훈 서울시장이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 개최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 개최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이비슬 이설 기자 =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꾀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 사업이 전국적으로 본격 시행된 가운데 '서울형 라이즈'가 출범했다.

서울시는 24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서울시 라이즈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을 심의·의결했다.

라이즈는 정부(교육부)가 대학 재정지원사업 예산 집행권을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이관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모색하는 사업이다.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서울라이즈위원회)는 서울시장(공동위원장, 당연직), 대학총장(위촉직), 민간 전문가 등 총 23인으로 구성되며 라이즈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사업예산 배분, 성과평가 결과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의결하는 최고 기구이다.

이날 회의에는 공동위원장인 오세훈 시장과 서울 소재 11개 대학총장을 비롯해 경제·산업·교육 전문가 6인, 서울시 및 유관기관 관계자 5인 등 총 23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서울형 라이즈의 5개년 기본계획과 서울라이즈센터 지정 및 센터장 임면 등 사업내용과 조직 구성 등을 심의·의결하고, 대학총장 중 1인을 호선을 통해 공동위원장(위촉직, 임기 3년)으로 선출했다.

올해 시행계획으로 공정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사업 공모 및 선정평가와 향후 성과평가 등에 관한 사항도 논의했다. 이외에 서울라이즈센터의 지정(서울연구원)과 센터장 임면을 심의·의결해 사업 전반을 견인해 나갈 조직체계도 완성했다.

시는 이날 심의한 결과를 토대로 3월 초 사업공고 개시, 서울 소재 대학 대상 설명회 개최, 사업선정 심의·평가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5월부터는 라이즈 사업수행에 선정된 대학들이 5년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서울형 라이즈 기본계획이 심의·의결되면서 시는 올해 765억 원(국비 565억, 시비 200억) 등 향후 5년간 총 4225억 원을 투입해 서울형 라이즈를 추진한다.

서울형 라이즈 계획은 △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 △서울 전략산업 기반 강화 △지역사회 동반성장 △평생·직업교육 강화 △대학창업 육성 등 5대 프로젝트, 12개 단위과제로 구성돼 있다.

먼저 글로벌 대학 경쟁력의 강화를 위해 글로벌 선도 대학 10개교와 글로벌 기업 40개를 육성한다. 또 AI 등 첨단 미래산업에서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석사급 해외 우수인재 500명 유치, 미래인재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 우수대학과의 공동 교육도 추진한다.

또 대학의 역량을 활용해 서울의 전략산업들과 연계함으로써 첨단 미래산업 기반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산학협력 집중 육성 22개 대학, 산학협력 고급인재 1300명, 창조산업 인재 500명 등을 육성한다. 양재, 홍릉 등 AI·BIO 클러스터와 연계해 산업생태계 확장도 시도한다.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위해선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 등 교육·돌봄 기능을 강화하고, 서울과 지방 대학 간 공동 교육 운영 등 인재 교류를 통해 지방과의 상생을 모색한다.

아울러 평생·직업교육을 강화해 시민 1만 5000명이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대상 '열린대학'을 운영하고 전문대학을 통한 산업현장 맞춤형 전문 기술인재 800명 양성 등 지역사회에 대한 교육 기능도 강화한다.

대학창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서울캠퍼스타운 사업을 통해 대학별 창업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연 1000개의 예비·초기기업을 육성해 지역과 대학 중심의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대학 경쟁률 상승이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아주 결정적인 변수 역할을 하게 된다"며 "오늘 출범하는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가 라이즈의 틀을 어떤 방향으로 잡아주시느냐에 따라 서울시의 목표, 대한민국의 미래가 좌우된다. 정말 중요한 출범의 자리"라고 강조했다.

공동위원장에 선출된 원용걸 서울시립대 총장도 "서울이 글로벌 탑 5 도시로 라이즈 하는 데 서울 소재 대학이 전부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대학은 서울이 가진 가장 큰 자산 중 하나고 혁신을 위한 노력을 라이즈 사업이 묶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b3@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