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에 보복을 예고해 온 캐나다가 미국산 식품과 자동차 및 부품 등에 대해선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의 미국 무역 자문 패널의 일원인 데이비드 맥노튼 전 미국 주재 캐나다 대사와 하산 유수프 상원의원은 1일(현지시간) 캐나다 일간지 글로브 앤 메일과의 인터뷰에서 국민들의 생활비 상승이나 대량 해고, 공장 폐쇄로 이어질 수 있는 대부분의 미국산 식품 및 부품에 대해서는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수프는 "사람들이 음식을 사는데 왜 그들을 때리겠는가"라며 "사람들에게 더 큰 고통을 줄 수 있는 물품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어 "사실 우리는 모두 살아야 하고 꼭 필요한 것들이 있다"며 "기본 식품을 수입해야 한다면, 사람들에게 충분한 영양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행동(식품 수입)을 했다고 처벌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다만 유수프는 일부 미국산 과일, 곡물, 유류는 캐나다산이나 가격 경쟁력이 있는 제3국을 통해 대체 수입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관세를 부과했다며 "멕시코산 딸기나 캐나다 온실에서 생산된 딸기를 구입할 수 있는데 미국산 딸기를 살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맥노튼은 브라질이나 이스라엘 등에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오렌지를 수입할 수 있으면 오렌지에도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말했다.
맥노튼은 이번 관세의 핵심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및 재계 정치적 동맹들을 겨냥한 것이라며 "트럼프에게 타격이 되면서 우리에게는 그렇지 않은 곳을 찾아야 한다. 테슬라에 250% 관세를 부과하면 강력한 메시지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캐나다 정부가 '동일한 액수의 보복 관세'(dollar-for-dollar)는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유수프는 "동일한 액수의 보복 관세는 오히려 캐나다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인식이 있다"며 "우리가 (미국에) 더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는 부분이 있기에 단순히 액수만 맞추는 방식보다는 더욱 정교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헀다.
익명을 요청한 캐나다 온타리오주 주정부의 한 관계자는 캐나다 정부가 미국산 자동차 및 부품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및 부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캐나다 자동차 산업이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자동차 산업에는 캐나다 노동자 약 50만 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니 총리는 지난달 28일 매니토바주 위니펙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캐나다에 추가 조치를 취한다면 우리는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보복 조치 방안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고 있다.
저스틴 트뤼도 행정부에서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담당했던 브라이언 클로우는 "캐나다 정부는 수개월간 다양한 보복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다듬어 왔다"며 "보복 조치 규모는 미국의 최종 관세 결정 규모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