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방침으로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등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이 타격을 입으며 한국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은 당장은 즉각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관세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다면 매수와 투자 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8일 건설산업연구원의 '건설 동향 브리핑'에 따르면 3월 기준 건설업의 수입 의존도는 3.4%다. 이는 전기·가스(25.4%)나 광업·제조업(19.2%)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건설업에서 수입 규모가 가장 큰 철근과 봉강도 총 거래액의 15%인 약 9000억 원 정도에 불과하다.
수입 비중이 낮은 이유는 건설사가 철강, 시멘트 등 주요 건설 자재를 대부분 국내 업체에서 조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족한 자재는 주로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미국의 관세폭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상태다.
그러나 해외 건설 현장에서 활동 중인 한국 기업들은 원자재 조달에서 원가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겪을 수 있다.
최윤식 미래학자는 "해외 플랜트 공사에서 자재의 상당 부분을 글로벌 소싱하는데, 중국산 저가 자재가 퇴출되면 조달 비용 상승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세계 경제 성장 둔화로 각국의 건설 투자가 축소될 수 있어, 해외 건설 수주 환경도 악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부동산 매수 및 투자 심리도 위축될 수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랩장은 "경제 불안정 시 주택 구매를 고려하는 수요자들의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며 "건설사 역시 원자재 값 상승과 인플레이션 압박, 금리 인하 지연 등으로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않아 투자 심리가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함 랩장은 "단기적으로는 지방 미분양 주택이 많아 공급 진도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며 "부동산 업황 회복은 상반기 내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주거용부동산팀장도 "관세 전쟁이 장기화되면 건설사의 원가 부담이 늘어나면서 분양가가 상승할 수 있다. 시공사들은 수익률 하락 부담에 적극적인 공급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상황 속에서 한국 건설사들이 미국 현지 진출이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수주 등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윤식 미래학자는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낙후된 인프라 개선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건설·엔지니어링 기업들에 해외 건설 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 건설사들은 도로, 교량, 터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양지영 팀장도 "관세 폭탄으로 현지 사업장 건설 수요가 발생했는데,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시키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이후 재건 사업에서 한국 기업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야 한다"고 말했다.
d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