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 첫날 폭설, 전국 곳곳 붕괴·교통사고…강원 7개교 개학 연기(종합2보)

퇴근시간 춘천요금소 구조물 낙하…뱃길·하늘길도 결항 속출
산간마을 25㎝ 이상 눈폭탄…강원·경북 일부 '대설경보' 발효 중

강원 산간을 중심으로 폭설이 내린 3일 강원도 강릉시 영동고속도로 강릉휴게소에서 차량들이 주행하고 있다. 기상청은 강원 산지에 최대 40cm 이상, 강원 동해안과 경북북동산지 에 30cm 이상의 폭설이 더 쏟아질 전망이라고 예보했다. 2025.3.3/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강원 산간을 중심으로 폭설이 내린 3일 강원도 강릉시 영동고속도로 강릉휴게소에서 차량들이 주행하고 있다. 기상청은 강원 산지에 최대 40cm 이상, 강원 동해안과 경북북동산지 에 30cm 이상의 폭설이 더 쏟아질 전망이라고 예보했다. 2025.3.3/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전국=뉴스1) 박대준 한귀섭 윤왕근 이종재 신관호 김지혜 한송학 최창호 기자 = 새 학기 첫날인 4일 전국에 많은 눈이 내리면서 시설물 붕괴, 눈길 교통사고가 이어지고 등교 차질 등 피해가 발생했다.

이날 오후 6시 30분께 강원 춘천시 동내면 중앙고속도로 춘천방향 춘천요금소에서는 하이패스 철제구조물이 1~2차선 사이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명피해나 차량 파손은 없었지만 사고 수습을 위해 편도 4개 차선 중 2개 차선이 통제되면서 퇴근시간대 극심한 교통 혼잡이 빚어졌다.

경찰과 도로당국은 이 구조물이 폭설에 무게를 이기지 못해 내려앉은 것으로 보고 안전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앞서 낮 12시 34분에는 정선 고한읍 고한리의 한 도로에서 눈길에 미끄러진 25톤 화물차가 시외버스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시외버스 안에 타고 있던 운전자와 승객 등 13명이 갇혔으나, 출동한 소방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다친 사람은 없어 병원에 이송되진 않았다.

또 태백·홍천·영월 지역에선 비닐하우스가 눈 무게를 이기지 못해 무너졌다. 영월에선 인삼시설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많은 눈이 내리자 현재 강릉 1곳과 고성 2곳의 도로가 통제 중이며, 도내 국립공원 탐방로 72곳도 차단된 상태다. 도내 7개 학교는 개학을 연기했으며 10개 학교는 등교 시간을 조정하기도 했다. 전국적으로도 강원지역을 포함해 28개교가 등교시간을 조정했다.

강릉·삼척·고성 등 4곳의 도로도 통제가 진행 중이며 춘천·강릉·정선·인제 등 28개 노선은 단축 운행했다.

본문 이미지 - 강원 산간과 동해안을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발효된 4일 강원 강릉시 성산초등학교 아이들이 폭설 속 하교하고 있다. 기상청은 오는 5일까지 강원 산지에 최대 40cm 이상, 강원 동해안에 30cm 이상의 폭설이 더 쏟아질 전망이라고 예보했다. 2025.3.4/뉴스1 ⓒ News1 윤왕근 기자
강원 산간과 동해안을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발효된 4일 강원 강릉시 성산초등학교 아이들이 폭설 속 하교하고 있다. 기상청은 오는 5일까지 강원 산지에 최대 40cm 이상, 강원 동해안에 30cm 이상의 폭설이 더 쏟아질 전망이라고 예보했다. 2025.3.4/뉴스1 ⓒ News1 윤왕근 기자

경북 경주시 토함산 일원과 도심으로부터 떨어진 산간 마을에는 최대 25㎝ 이상의 눈 폭탄이 쏟아져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이날 새벽부터 내린 눈으로 불국사 주차장에서 토함산으로 가는 불국로 구간 7㎞가 전면 통제되기도 했다. 오후 2시에 발령된 대설경보는 오후 5시에 해제됐지만 산내면과 양남면, 현곡면 남사리 등 도심과 떨어진 산간엔 여전히 많은 눈이 쌓여 있다.

울산의 고도가 높은 산간 지역에는 눈이 내려 일부 지역에 한해 대설주의보가 내려졌다.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북구 마우나 정상~경주 양남 인근 적설량은 9.5㎝를 기록하며 양방향을 전면 통제하기도 했다.

배내골 및 석남터널 입구 삼거리와 배내 철구소~상북 방면은 통제 중이며, 운문재 입구 삼거리와 소호 삽재삼거리는 해제됐다.

눈이 내린 경남 합천군 대병면 하금리에서 산청군 차황면 장박리까지 8㎞(1026호 지방도·황매산터널) 구간의 도로도 이날 오후 2시부터 통제됐다.

이날 대설특보가 발효되면서 항공기 14편과 여객선 66척이 결항했다.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김포 6편, 제주 4편, 김해 1편, 원주 1편, 여수 1편, 사천 1편 등 총 14편의 항공기가 결항했다.

목포~홍도, 여수~거문, 포항~울릉 등 47개 항로에서 풍랑특보로 인해 여객선 66척이 운항을 멈췄으며 설악산, 속리산, 태백산 등 국립공원 14곳의 291개 탐방로도 폐쇄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후 10시 현재 강원 북부·중부·남부산지에 '대설경보'가 발효 중이며, 강원 강릉평지·동해평지·태백·삼척평지·속초평지·고성평지·양양평지와 경북 북동산지에 '대설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경북 울진에 발효됐던 대설주의보는 오후 6시에, 울릉도·독도는 오후 9시에 해제됐다.

djpar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