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최근 우리 경제가 미국발 관세전쟁 등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됨에 따라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고 있다는 국책연구원의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발표한 '2025년 4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하며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는 모습"이라며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국제 통상 여건이 악화하면서 수출 하방 압력이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지난 2월 전산업 생산(-3.7%→1.2%)이 증가했으나, 이는 주로 조업일수(-4.0일→+1.5일) 확대 때문으로, 생산 증가세 둔화 흐름은 지속되고 있다.
광공업 생산(7.0%)은 반도체(11.6%)가 양호한 증가세를 유지한 가운데, 전월 일시적으로 감소했던 자동차(14.6%), 전기장비(3.9%) 등이 개선되며 증가 폭이 확대됐다. 서비스업 생산(0.8%)도 도소매업(1.2%), 금융보험업(2.6%)을 중심으로 완만하게 증가했다. 다만 건설업 생산(21.0%)은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했다.
KDI는 "조업일수 영향이 보정된 계절조정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기준으로도 건설업(-21.7%)이 많이 감소했다"며 "광공업(1.0%)과 서비스업(0.1%)도 낮은 증가세에 그치며 산업 전반에서 생산이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소비심리는 개별소비세 인하에 기인해 승용차가 반등했으나, 전체 소매 판매는 감소세를 지속하면서 상품 소비의 부진을 나타냈다.
작년엔 2월이었던 설 명절이 올해엔 1월로 이동하면서 2월 내구재(13.7%)가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준내구재(-6.8%)와 비내구재(-7.5%)는 대폭 감소했다.
설 명절 이동의 영향이 배제된 1~2월 평균 기준으로 보더라도, 내구재(2.0%)가 승용차(10.4%)를 중심으로 반등했으나, 준내구재(-4.0%)와 비내구재(-1.4%)의 부진에 따라 소매 판매(-1.1%)는 감소세를 지속했다.
서비스 소비는 1~2월 평균 기준으로 숙박·음식점업(-3.7%),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5.6%), 교육서비스업(-1.8%) 등 소비와 밀접한 주요 서비스업 생산이 감소세를 보였다.
3월 소비자심리지수(93.4)는 작년 12월의 극심한 위축에서는 벗어났으나, 여전히 기준치(100)를 하회하는 낮은 수준이다.
2월 설비투자(7.7%)는 조업일수 확대 및 반도체 관련 투자의 호조로 증가했다. 그러나 KDI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 수출 여건 악화로 향후 설비투자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건설투자는 부진을 지속했다. 2월 건설기성(-21.0%)은 전월에 이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위축된 모습이다. 건축 부문(-23.9%)의 극심한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토목 부문(-11.1%)은 감소 폭이 일부 축소했다.

3월 수출은 전월(0.7%)보다 높은 3.1%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일평균 기준으로도 5.5% 증가하면서 1~2월의 저조했던 흐름을 일부 만회했다.
다만 올해 1분기 수출은 ICT 증가 폭 축소에 주로 기인해 2.1% 감소하며 수출 증가세 둔화 흐름을 시사했다.
다만 KDI는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세계 경제 성장세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심리가 위축됐다"며 "4월 미국의 관세 인상이 본격화됨에 따라 수출 여건이 급격히 악화하는 모습"이라고 했다.
2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전월과 유사한 13만 6000명을 기록했다.
서비스업(39만 5000명)은 정부일자리 사업의 영향으로 보건·사회복지(19만 2000명)의 증가 폭이 확대되면서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제조업(-7만 4000명)과 건설업(-16만 7000명)이 큰 폭 감소하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세는 완만한 수준에 그쳤다.
3월 소비자물가는 전월(2.0%)과 유사한 2.1%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요 압력이 낮게 유지됨에 따라 근원물가(1.9%)도 전월(1.8%)과 유사한 흐름을 지속했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