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스마트폰 업계가 연일 말을 뒤집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요동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와 애플 등 제조사는 탈(脫)중국 및 생산기지 다변화 등의 전략을 두고 고심을 거듭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ABC와의 인터뷰에서 "(스마트폰 및 컴퓨터 등 일부 제품은) 상호관세에서는 면제하지만 1~2달 내 적용될 반도체 관세에 포함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트럼프 역시 자신이 만든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금요일에 발표된 관세의 예외는 없으며, 특히 우리를 가장 나쁘게 대하는 중국은 더욱 그렇다"며 "(스마트폰 등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의 적용을 받고, 단지 다른 관세로 부류(bucket)가 옮겨갈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9일 만에 반도체·스마트폰 등의 상호관세 제외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외신 등에서는 애플의 주가가 4거래일 만에 20% 이상 급락하는 등 상호관세로 인한 미국 기업들의 충격을 고려한 정책 완화라고 분석했으나, 겨우 하루 만에 다시 뒤집힌 셈이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를 고려하면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등 제품들은 관세 면제가 아닌 반도체 관세 발표 전까지의 일시적인 유예만을 확보한 상황이다.
특히 러트닉 장관은 "(스마트폰 등의) 제품들의 리쇼어링을 위한 특별 관세인 별도의 '반도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품목별 관세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최근 제조사들이 추진해 온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만으로는 관세의 충격을 피할 수 없게된 셈이다.
삼성전자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갤럭시 스마트폰 대부분을 생산하는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율이 부과됐다. 이에 생산거점을 비교적 관세가 저렴해진 인도(상호관세율 26%) 등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145%의 관세를 부과받은 중국에서 여전히 대부분의 아이폰을 생산 중인 애플은 수송기 여러대를 통해 관세 발효 전 미국으로 아이폰 및 자사 제품을 실어오는 '긴급수송'에 나서기도 했다. 애플 역시 인도로 생산기지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반도체 관세는 국가별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로 부과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 상호관세를 예외로 하고 25%의 품목별 관세율을 적용한 바 있다.

이 경우 더 불리한 상황에 처하는 건 애플이다. 애플은 '반도체 관세'는 물론, 생산기지를 이전하기 전에는 대(對)중국 관세 중 하나인 '펜타닐 관세' 20%까지 추가로 적용받을 전망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를 이르면 '다음 주'(over the next week)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애플 아이폰 관세를 묻는 질문에 "이 분야 몇몇 기업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며 다시 한번 불확실성을 남겼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IT 품목 관세 면제 소식으로 테크 섹터의 투자 심리가 긍정적으로 바뀔 듯했으나, 러트닉 장관의 확인사살로 트럼프 발언 관측 전까지는 전자제품과 반도체의 관세 문제는 양자역학적 중첩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Kri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