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농촌 지역에 방치된 빈집을 정비해 많은 이들이 머물고 싶은 농촌을 만들기 위한 '빈집 재생' 지원 사업들이 올해 상반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빈집을 정비해 민간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상반기에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농촌소멸 대응 빈집 재생 사업'을 통해서는 빈집이 밀집된 마을을 대상으로 해당 빈집을 주거‧워케이션, 문화‧체험, 창업공간 등 생활인구를 위한 공간과 마을영화관, 공동부엌 등 마을주민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시·군이 역량 있는 민간과 협업해 기획부터 함께 사업을 추진하도록 해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농식품부는 31일까지 지자체의 신청을 받을 예정이며 향후 선정된 3개 시·군에는 개소당 총 21억 원이 투입된다.
민간의 빈집 거래 촉진을 위한 '농촌 빈집은행 활성화 지원' 신규사업은 4일 지자체 대상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3월 말까지 참여 지자체 등 선정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빈집은행은 빈집실태조사 등으로 파악된 빈집 중에서 소유자의 거래 활용 동의를 받은 빈집을 대상으로 공인중개사를 통해 빈집정보를 구체화·매물화해 민간 부동산 플랫폼에 연계해 거래를 추진하게 된다.
빈집 철거 등 농촌 주거·안전·위생 인프라 개선을 지원하는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사업'도 추진된다. 마을 내 철거가 필요한 빈집은 정비 지원이 가능하며 연간 500호 내외의 빈집을 철거하고 있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폐가가 되어버린 농촌빈집은 마을 주민의 주거환경을 저해할 뿐 아니라 지역 소멸의 가속화 요인이 되므로 철거가 필요하지만, 민간의 창의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지역 자원으로 되살리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면 더 많은 이들이 머물고 싶은 농촌을 만드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freshness4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