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제약사 다시 미국으로"…K-제약바이오, 관세 예의주시

"코로나19 때처럼 다른 나라에 의약품 의존 원치 않아"
삼성바이오·셀트리온·SK바이오팜, 관세 우려 조기 진화

본문 이미지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AFP=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AFP=뉴스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철강과 자동차 등에 관세를 부과하면서 의약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SK바이오팜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해 선제적 조치를 취하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제약사 다시 미국으로"…"다른 나라에 의존 원치 않아"

1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에 대해 "곧 발표할 예정으로, 제약사를 다시 미국으로 불러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약품 관련 관세율은 15% 수준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제약사가 미국에 제품을 들여올 때 적절한 수치를 찾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때와 같이 약을 다른 나라에 의존하는 상황을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정책에 대해 중국 등을 견제하면서 미국 현지에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보고 있다.

앞서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미국 제약사 중 처음으로 미국 내 제조시설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270억 달러(약 39조 원)를 투자해 5년 내 가동을 목표로 미국 내 4개 제조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어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 역시 해외 제조시설을 미국 기존 공장으로 이전할 수 있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에 기존 제조 네트워크를 갖춘 회사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해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능한 선제적 조치 구축…"상황 예의주시"

글로벌 제약사들이 대규모 투자 계획 등을 밝히면서 미국에 진출한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대응에 나서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글로벌 곳곳에서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시 미국을 대상으로 한 생산·공급 전략 수정이 있을 수 있을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미국 관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들을 선제적으로 마련했다고 전했다. 우선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9개월분의 재고를 이미 미국 현지로 이전해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판매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 상태다.

관세 부과 시 세 부담이 낮은 원료의약품(DS) 수출에 집중하고 있다. 제조 역량을 갖춘 현지 CMO 업체를 통해 완제의약품(DP)을 생산하고 있는 만큼 의약품 관세 부과 추이에 따라 필요시 현지에서 DP 생산을 더 늘린다는 계획이다. 현지 생산시설 확보를 위한 검토 등도 진행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시장에서 세노바메이트를 판매하고 있다. 세노바메이트는 국내에서 원료의약품(API)을 제조한 후 캐나다에서 정제(태블릿)와 제품 패키징 등 완제의약품으로 만들어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생산시설 추가·이전을 미리 준비해 세노바메이트 생산 기술 이전과 공정 검증 등을 완료하고 지난해 하반기에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SK바이오팜은 FDA 승인을 받은 미국 내 의약품 CMO 시설을 확보해 필요할 시 즉시 생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관세 정책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갖췄다고 전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문제는 해외로 생산시설을 옮긴 기업이 다시 돌아오는 현상(리쇼어링)이 단기적으로 시행되기 어려운 분야가 바로 의약품 부문"이라면서 "단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리쇼어링으로 인해 일부 수주 영향 등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영향이 아직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ji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