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백신 펀드 4호까지 선정…6000억 실탄 장전 속도

누적 3786억 조성 완료…공동연구·SI·FI 협력 모델 등 추구
올해 1000억 규모 투자 집행 추진…바이오헬스 전 분야 60% 비중

본문 이미지 - 제약바이오·금융핀테크 투자 전문 벤처캐피탈(VC) 데일리파트너스 주요 포트폴리오.(데일리파트너스 제공)/뉴스1
제약바이오·금융핀테크 투자 전문 벤처캐피탈(VC) 데일리파트너스 주요 포트폴리오.(데일리파트너스 제공)/뉴스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K-바이오·백신 펀드가 4호까지 선정됐다. 올해 안에 6000억 원 규모 펀드를 조성해 바이오헬스 분야에 집중 투자를 단행할 방침이다. 올해에만 1000억 규모 투자 집행이 추진된다.

3호 펀드 운용사 데일리파트너스·NH투자증권 선정

6일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8일 K-바이오·백신 3호 펀드 주관 운용사로 데일리파트너스와 NH투자증권을 최종 선정했다.

3호 펀드 목표 결성액은 1000억 원이다. 3호 펀드는 정부 등 공공출자금 400억 원과 민간 출자금 320억 원을 확보해 우선 700억 원 규모를 결성한 후 조기에 투자를 개시하게 된다. 오는 5월까지 민간 출자금을 추가로 확보해 최종 1000억 원 규모로 펀드가 조성된다.

K-바이오·백신 1호 펀드는 유안타 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고 있다. 공공 600억 원, 민간 900억 원 출자로 1500억 원 규모로 이뤄졌다. 2호 펀드 운용사는 프리미어 파트너스다. 총 1566억 원을 운용하고 있다.

3호 펀드 결성에 따른 현재 누적 펀드 운용금은 3786억 원이다.

K-바이오·백신 4호 펀드 운용사는 지난해 10월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와 IBK캐피탈이 선정됐다. 이들은 오는 4월까지 1000억 원 규모 펀드를 결성해 투자를 개시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1000억 원 규모 5호 펀드에 대해 주관 운용사를 공모해 올해 말까지 총 6000억 원 규모 펀드 조성을 추진할 방침이다.

신약 개발 2~3상 단계 투자 관심…'죽음의 계곡' 넘는다

K-바이오·백신 펀드는 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졌다. 투자는 주로 신약 임상 2~3상시험 단계 연구와 혁신 제약 기술 플랫폼, 글로벌 진출, 인수합병(M&A) 등 혁신 제약바이오헬스 기업에 이뤄질 전망이다.

앞서 1호 펀드 운용사인 유안타인베스트먼트는 △임상 성공 가능성 높은 기업 발굴로 포트폴리오 구축 △바이오 생태계 구성요소 연계를 통한 밸류업 도모 △선순환 가능한 제약바이오 생태계 새 그림 완성 등을 투자 전략으로 소개한 바 있다.

주요 운용 전략은 국내외 제약사와의 협업과 전략적투자자(SI), 재무적투자자(FI) 협력 모델이다. 시리즈 A나 B 단계에 있어서 FI가 단독으로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SI와 협력해서 함께 투자해 투자 대상인 기업의 가치를 올리는 전략이다. 기업형 벤처캐피탈(CVC)과도 투자를 연계할 계획이다.

2~3상시험 단계를 밟고 있는 신약개발사에 K-바이오·백신 펀드는 단비가 될 전망이다.

2~3상 단계는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 등을 환자를 대상으로 검증하는 단계다. 이 단계는 막대한 비용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긍정적인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심각한 부작용 등이 발견되면서 실패하는 사례가 잦다.

2~3상 단계는 성공 가능성이 불확실한 상태에서 임상 연구에 필요한 거액을 투자받기 어려워 죽음의 계곡으로 불린다.

벤처캐피탈(VC) 업계 관계자는 "공공자금이 투입된 K-바이오·백신 펀드가 운용되고 있지만 이들이 자선사업가는 아니다"라면서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결국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기업가치, 보유 파이프라인 수, 후보물질과 플랫폼 기술 경쟁력 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ji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