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유진 장성희 구교운 기자 = 서울대와 이화여대, 부산대 등 여러 대학의 의대생 복귀 시한이 27일 마감된다. 유급과 제적 등 대학들의 강경책에 복귀자가 다수 발생하며 의대생 '단일대오'에 균열이 일고 있다.
다른 대학들의 복귀 데드라인도 이번 주 속속 도래하는 가운데, 복귀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의대생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이미 복귀 마감일이 지난 대학에선 뒤늦은 등록 문의가 이어지는 등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27일 대학가에 따르면 경상국립대와 동국대, 부산대, 서울대, 영남대, 이화여대의 의대생 복귀 시한이 이날 마무리된다. 대학들은 의대생 복귀를 위한 막판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산대 의대는 복귀 마감일 하루 전날(26일) 학장 명의의 공지를 통해 "3월 27일까지 등록, 복학 및 수강 신청이 동시에 돼 있어야 부산대 의대 학생으로서의 학적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대학은 학년별로 구분해 복귀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자세히 안내했다. 먼저 25학번 신입생에게는 "출석 미달로 인해 F 학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 주기를 부탁드린다"고 했다. 24학번엔 "가장 걱정이 되는 학년"이라며 "재입학이 불가능할 수 있는 학년이므로 특별히 모두 빠짐없이 복학 신청해 주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임정묵 서울대 교수회장은 전날 보도자료를 내고 "여러 어려움과 불안함이 있겠지만 부디 학교로 돌아와 전공의 및 교수님들과 함께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만들어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드린다"고 의대 학생들에게 호소했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도 지난 25일 '학생 여러분과 학부모님께 드리는 글'을 통해 "이제 용기를 내 부디 복귀해 주시길 다시 한번 간절히 요청한다"며 27일 복귀를 강조했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복귀 마감일을 하루 앞두고 전날 밤 자체적으로 등록과 휴학 여부 투표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상국립대 역시 전날 "복학 신청 기간 내에 복학하지 않으면 학칙 제55조에 따라 제적의 사유가 되는 점을 유의해 주시고 3월 27일 오후 6시까지 반드시 복학 신청하시기를 바란다"고 공지했다.
복귀 시한이 지난 대학에선 뒤늦게 추가 복학 절차를 문의하는 의대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일부 학생은 등록을 거부한 학생들을 의식해 복학 신청을 취소할 수 있는지 문의하는 등 제적을 앞두고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이미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 고려대 의대에는 최종 제적을 앞두고 제적·복학 관련 면담 신청을 받기 시작했는데 신청한 학생이 200명을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대도 지난 24일까지였던 복학 마감일 이후 뒤늦게 복학을 희망한다며 원서 제출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은 제적 여부를 다음 주 중 확정할 방침이다.
마감일까지 등록하지 않아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받은 연세대 의대생 A 씨는 "부학장을 뵙고 복학 신청서를 제출하고 왔다"며 "서면으로 제출해 미등록 휴학자로부터 추적당할 염려도 없다. 등록금 내고 수업 거부하며 제적 위험 없이 동기들과 발맞춰 진급하면 된다"고 말했다.
지난 21일까지가 의대생 복귀 시한이었던 경북대에선 '복학 취소' 움직임도 포착된다. 한 경북대 의대생은 학교 커뮤니티에 "부모님과 상의 끝에 등록했는데 미등록하신 분들에게 정말 죄송하다. 내가 이기적이었다"며 "학교 측에 복학 신청 취소를 요구했지만 합당한 근거 없이 받아주지 않았다. 학교 측에 정식 항의하고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할 예정"이라고 했다.
rea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