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오폭 사고 대책본부 구성…10일에 조사 결과 발표(종합2보)

재발방지책·안전 진단·배상 관련 주민 의견 수렴 등 종합 대응
합참 사고 인지 시점, 소방보다 20분 늦어 '지각 대응' 논란 불가피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7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전날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군은 대책본부를 통해 구체적인 사고 경위와 재발방지책, 주민 피해 배상 방안 등을 마련해 오는 10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국방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7/뉴스1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7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전날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군은 대책본부를 통해 구체적인 사고 경위와 재발방지책, 주민 피해 배상 방안 등을 마련해 오는 10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국방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7/뉴스1

(서울=뉴스1) 임여익 김예원 기자 = 국방부가 경기 포천에서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 대응을 위해 통합 사고대책본부를 운영한다. 군은 대책본부를 통해 구체적인 사고 경위와 재발방지책, 주민 피해 배상 방안 등을 마련해 오는 10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대책본부의 본부장을 맡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책본부는 전날 발족한 공군의 사고대책위원회와 육군의 현장통제지원본부 기능을 모두 흡수해 운영된다.

국방부는 6일 오후와 이날 오전 이뤄진 두 차례의 대책회의를 통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 직무대행은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들과 현장을 찾아 주민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달했으며, 오늘도 사과 및 재발방지 대책을 약속하는 추가 입장문을 발표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군 당국은 어제 사고 발생 이후 폭발물 처리반(EOD) 등 5개 팀을 투입해 비정상 투하된 8발 가운데 불발탄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94명의 장병을 투입해 피해 지역 잔해를 수거하고 피해 주택을 수습했다.

이어 오늘부터는 2개 부대 150명의 장병을 추가 투입해 현장 지원 활동을 이어가는 한편, 경기도와 통합 안전진단팀을 운영할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공군 법무팀 등과 현장대응팀을 구성해 신체·재산 피해 보상 관련 법률 지식을 주민들에게 전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본문 이미지 - 한미 연합훈련 도중 전투기의 폭탄이 민가에 떨어지는 오폭 사고가 발생한 6일 오후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사고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공동취재) 2025.3.6/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한미 연합훈련 도중 전투기의 폭탄이 민가에 떨어지는 오폭 사고가 발생한 6일 오후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사고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공동취재) 2025.3.6/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국방부와 군 당국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이번 오폭 사고로 인한 부상자는 현재까지 총 29명이다. 민간인이 15명, 군인이 14명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 중 중상자는 지역 주민 2명으로, 각각 의정부성모병원과 국군수도병원으로 이송됐다"라고 말했다.

중상자 중 한 명은 어깨 골절, 한 명은 목에 파편으로 인한 상처를 입었으며, 수술 후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부상자가 전날 집계된 15명에서 29명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난 부분에 대해 국방부는 이명이나 두통, 복통, 불안증세를 호소한 사람들까지 포함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중 20명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귀가해 현재 9명(민간인 7명·군인 2명)이 환자로 관리 중이다.

군은 사고 발생 직후 부상자가 발생한 현장과 병원으로 의료인력 총 4개 팀을 긴급 투입했다. 오늘 오후 1시부터는 국군의무사령부와 육군본부, 5군단 의무인력으로 구성된 정신건강 현장지원팀을 운영해 사고에 노출된 장병들에게 PTSD 예방 및 진료활동을 진행 중이다.

노곡2리 주민들을 대상으로는 국가트라우마 센터 및 포천시 정신건강센터와 연계해 정신과 진료 및 상담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본문 이미지 -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과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6일 오후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포탄 사고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공동취재) 2025.3.6/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과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6일 오후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포탄 사고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공동취재) 2025.3.6/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한편, 군 당국이 오폭 사고의 첫 보고를 받은 시점은 사고 발생 시점보다 20분 늦은 것으로 확인돼 '늑장 대응'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고속상황 전파체계를 통해 육군으로부터 합참으로 첫 보고가 들어온 시각은 6일 오전 10시 24분"이라고 말했다. 군과 소방이 파악한 사고 발생 시간은 오전 10시 4분이었다.

이 관계자는 "합참의장에게 보고가 올라간 시간은 10시 40분"이라며 "지상작전사령관이 비화폰으로 '비상 폭발'이 있었고, 이는 '화력 훈련 간 낙탄'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했다"라고 설명했다. 합참의장은 이 보고를 받을 때 화력 훈련을 참관 중이었고, 보고를 받은 즉시 지휘통제실로 복귀했다고 이 관계자는 부연했다.

아울러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보고가 올라간 시간은 오전 10시 43분쯤이라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군은 전날 사고 발생 100여분 후에 사고 사실을 언론에 공지했다. 그 때문에 군이 '늑장 대응'을 했거나 관련 사실을 은폐하려고 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됐다.

이 관계자는 대국민 공지가 지연된 이유에 대해 "당시 낙탄 사고와 별개로 여러 훈련이 종합적으로 이뤄지고 있었고, 공군이 사용한 탄이 맞는지 여부도 정확한 확인이 필요했다"며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어 공지가 다소 늦어졌다"라고 해명했다.

국방부와 군 당국은 오는 10일 정확한 사고 원인 및 피해 배상 개요에 대해 발표한다. 앞서 국방부는 사고 원인을 두 대가 짝을 이뤄 실시한 훈련에 투입된 KF-16 '1번기' 전투기 조종사의 좌표 입력 오류라고 밝혔는데, 같이 폭탄을 비정상 투하한 '2번기' 전투기의 과실 수준 및 사건 개요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해 사고 원인 및 대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plusyou@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