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남해인 기자 =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 0시를 기해 경찰력 100% 동원이 가능한 '갑호비상'을 전국에 발령했다. 헌법재판소 인근을 중심으로 긴장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경찰은 불상사를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경찰에 따르면 갑호비상은 치안 사태가 악화하는 등 비상 상황 시 발령하는 경찰 비상 업무 체제로, 연가 사용이 중지된다.
경찰은 갑호비상을 발령하는 것을 시작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소속 2만여 명이 동원되고, 그중 210개 부대 소속 1만 4000명은 서울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예정이다.
경찰은 지난 2일부터 헌재 주변을 집중 관리해왔다. 1단계로 안전 확보를 위해 반경 150m에 차단선을 구축해 이른바 '진공상태'를 만들었다. 당초 차단선을 반경 100m 구역에 설정할 계획이었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추가로 공간을 확보한 것이다.
추후 상황을 고려해 2단계로 헌재 반경 300m까지 진공상태 구역을 넓혀 차벽을 치고 3단계로 안국역 일대인 찬성·반대 집회 구역 사이 '완충구역'을 형성한다.
아울러 경찰은 집회에 참가하는 많은 인파가 모일 것으로 예상되는 종로·광화문·을지로 등 서울 도심 주요 지역을 특별 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한다. 총경급 8명이 이 지역을 살펴 치안을 유지하게 하는 권역별 책임 치안을 실시한다.
이 8개 구역에는 경찰 1500명이 배치될 예정이다. 분신에 대비해 경찰 1인당 개인용 소화기 1개씩과 순찰자 1대당 소화포 194개를 배치했다.
또 이날 헌재 재판관 신변 보호를 위해 경호팀을 추가 배치한다. 전담팀을 통해 취재기자 보호에 나선다.
폭력 집회와 헌재 난입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해 유튜버 모니터링도 실시한다. 경찰은 "불법 사항을 발견할 시 즉시 제지 가능하도록 대비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에 벌어졌던 '대혼돈'의 상황을 참고해 경비 대책을 준비해 왔다.
지난 2017년 3월 10일 박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이뤄진 오전 11시 21분 이후 탄핵 반대 집회 분위기가 격화하며 폭력시위로 변질됐다. 경찰이 진압에 나서자 기동대원을 향해 거칠게 달려드는 박 전 대통령 지지자들도 있었다.
폭력시위가 확산하자 경찰은 이날 세 차례 해산 명령을 내렸지만, 파면 선고 7시간 40분 만에 집회 해산이 이뤄졌다. 당시 현장에 있던 시민 중 4명이 사고로 사망했다.
hi_na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