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뉴스1) 이상휼 최대호 기자 = 경기도가 이달부터 '기후보험'을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지자체 중에서는 최초 시행이다.
경기도의 기후보험은 별도 가입 절차 없이 모든 도민이 자동으로 가입된다. 기후보험은 △온열질환·한랭질환 진단비 △감염병 진단비 △기상특보 관련 4주 이상 상해가 발생하면 사고 위로금을 정액 지원하는 방식 등으로 운영한다.
기후 취약계층(시군 보건소 방문 건강관리 사업 대상자) 약 16만 명은 추가 혜택을 받는다. 기상특보 때 의료기관 교통비, 기후 재해 때 구급차 이송 서비스, 기후 재해 정신적 피해 지원 등이다.
기후보험 사업은 1년 단위 계약으로 운영하며 도는 이를 위해 자체 예산 약 34억 원을 투입한다.
도는 기후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우주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후 위성 개발·발사 프로젝트도 본격화한다. 이달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고, 기후 데이터 수집을 위한 초소형 인공위성을 도입할 예정이다.
기존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R&D) 방식이 아닌 민간 주도로 추진되는 이번 기후 위성 사업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도 정밀한 기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도는 기후 위성 사업을 통해 기후정책 고도화,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기후 기술 스타트업 육성, 국제 협력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도는 올해 2분기 내에 '기후 펀드'(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도 추진한다. 도내 미활용 국공유지를 활용해 경기도주식회사가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립하고, 발전 수익 일부를 지역 주민들에게 환원하는 구조다.
도는 올해 3640억 원을 투입해 △기후 기술 스타트업 육성 △에너지 취약지역 신재생에너지 보급 △기후 행동 기회 소득 등 총 121개 과제도 시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지난달 26일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을 발표하면서 "기후 위기는 대한민국 경제의 위기"라며 "이제는 기후경제로 대한민국 경제를 대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 지사가 제시한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은 △기후산업에 최소 400조 원 이상 투자 △석탄발전소 전면 폐지 △기후경제부 신설 등을 포함한 기후경제 거버넌스 구축이다.
daidaloz@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