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차 '공정경제 5개년 기본계획' 수립…상생협력 중점

공정거래·사회적경제 등 5개 분야 27개 사업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재배포 및 DB 금지)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재배포 및 DB 금지)

(수원=뉴스1) 최대호 기자 = 경기도가 지역 동반성장 협의체를 구성하고 동반성장 페어를 개최하는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실질적 협력 기반 조성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경기도 공정 경제 5개년 기본계획(2025~2029)'을 확정했다고 전했다.

도는 '경기도 경제민주화 지원 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 5년마다 의무적으로 해당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지난 2020년에 제1차 계획(2020~2024)을 수립했다.

이번 2차 계획은 5개 분야 27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지난해 공정경제위원회에서 심의·확정된 사업들을 바탕으로 수립했다.

이에 따라 도는 올해 660억 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분야별로는 공정거래 분야 7개 사업(22억 원), 상생 분야 10개 사업(567억 원), 사회적경제 분야 3개 사업(53억 원), 소비자 분야 3개 사업(17억 원), 노동 분야 4개 사업(2000만 원)이다.

공정거래 분야에선 경기도형 납품 대금 연동제 확산과 기술 탈취 예방에, 상생 분야에서는 골목상권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이번 계획에는 △지역 동반성장 협의체 구성·운영 △상생 주간 연계 동반성장 페어 개최 △상생 결제 활성화 지원 등 신규사업 6건도 포함됐다.

도는 분기별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공정경제위를 통해 신규 과제를 지속 발굴하는 등 정책 이행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또 오는 2027년에는 중간평가를 실시해 정책 효과를 분석하고 필요시 보완 과제를 추가 발굴할 계획이다.

서봉자 도 공정경제과장은 "이번 계획은 경제적 약자 보호와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업들로 구성했다"며 "특히 제1차 계획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성과와 한계를 면밀히 분석해 더욱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sun0701@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