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산림청은 울산 울주군 산불피해 지역에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산사태 우려지역에 대한 긴급진단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울주군 온양읍 산불피해지역 내 생활권 41개 구역을 포함한 총 119개 구역을 대상으로 2차 피해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응급복구 및 연내 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8개 구역, 항구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12개 구역으로 확인됐다.
산림청은 복구 우선순위에 따라 오는 6월까지 응급 복구를 완료한 뒤 연내 및 차년도에 걸쳐 항구복구를 순차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울산 울주군에 이어 경북‧경남지역 산불피해지에 긴급진단팀을 집중적으로 배치해 조사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경북·경남지역의 긴급진단팀은 총 29개 팀 58명으로 구성됐으며, 위성영상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가옥 및 공공시설이 밀집한 생활권 지역 4166개 구역을 중심으로 조사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피해지는 집중호우 시 산사태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위험지역을 선제적으로 찾아내고 산사태 예방사업을 추진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불피해지역은 토양의 물리적 성질이 약해져 빗물이 흙 속으로 스며들지 못
하고, 지표면으로 빠르게 흘러 많은 양의 흙을 쓸고 내려가게 돼 산사태 위험이 높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지를 대상으로 시계열적 토사량을 측정한 결과 산불발생 후 2년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1275g/㎡ 이상 유출되어 일반 산림에 비해 3~4배 높았다.
또한 산불로 인해 죽은 나무의 뿌리가 부패하면서 토양을 붙잡고 있는 힘이 떨어져 장마철이나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쉽게 무너져 내린다. 대형산불 지역일수록 산사태에 더욱 취약한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다.
pcs420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