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전민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 관세 대응은 단판이 아닌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라며 다른 나라 대응 동향을 보며 최적의 협의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8일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제9차 대외경제자문회의에서 미국 관세조치의 정치경제적 배경과 전략적 의도를 짚어보고,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대외경제자문회의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 및 정책 제언을 경청하기 위해 지난해 4월 도입한 비상설 회의체이다.
회의에서 민간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가 무역적자·재정적자 해소, 효과적인 대중(對中) 견제를 위해 대외정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있으며, 관세조치 역시 같은 맥락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 내 이해관계자별로 상이한 반응, 국가별 엇갈린 대응에 따라 향후 전개 양상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대미 협상을 앞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자동차·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 다변화 촉진 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에 최 부총리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등을 통해 미국의 구체적인 입장과 향후 계획을 파악하고, 우리에 대한 25% 관세를 낮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여타국 동향도 면밀히 분석하여 경제안보전략 TF 등을 통해 대미 협의 방향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국내 대책과 관련, 이번 주 중 자동차산업 지원방안을 마련·발표하고,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부문과 업종별 대책도 신속히 마련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우리 경제를 근본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등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24시간 점검 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과도한 변동성에는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min78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