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6월 3일 조기 대선이 열리는 가운데, 향후 집값은 대선 공약보다 금리와 경기 상황에 좌우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7대부터 20대 대선까지 선거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은 금리·경기·유동성 등 거시경제 여건에 따라 달라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17대)은 2007년 12월 선거에서 수도권 광역 교통망 확대,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공급 확대 등 개발 위주의 공약을 내걸었다.
이에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선거 직후 3개월간 2.24% 상승했다. 선거 직전 3개월은 0.66% 올랐다.
다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오면서 공약 효과는 단기적 기대감에 그쳤다. 금융위기가 시장 방향성을 결정지었기 때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18대)은 후보시절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유예, 뉴스테이 도입, 전세시장 안전 등 규제 완화 중심 공약을 제시했다. 하지만 당시 장기 저성장과 내수 침체가 주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줬던 것으로 분석된다.
선거 전 3개월 서울 아파트값은 –1.07%, 선거 후에는 –0.27%로 하락폭이 줄어들긴 했지만, 상승 전환에는 실패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19대)은 선거에서 보유세 강화, 투기지역 지정 확대 등 규제 중심의 공약을 내놨지만, 선거 전후 서울 아파트값은 각각 1.07%·0.31%씩 상승했다. 상승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강한 오름세를 유지했다.
양지영 수석은 "당시 초저금리 기조와 풍부한 유동성이라는 거시환경의 영향이 컸음을 보여준다"며 "공약의 규제 성향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유동성에 의해 주도됐다"고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20대)은 후보시절 재건축 규제 완화, 세제 부담완화 등 시장 친화적 공약을 내놨지만, 이 공약이 집값 흐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선거 전에는 서울 아파트값이 0.31% 상승했지만, 이후 3개월 동안은 0.18% 하락하며 방향을 틀었다.
기준금리 급등,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위기, 매수심리 위축 등 고금리 환경이 시장을 좌우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 수석은 "규제 완화 공약이 있던 시기(이명박, 박근혜, 윤석열 정부)에는 기대감이 반영돼 단기 상승세가 나타나거나 낙폭이 제한됐고, 규제 공약이 있던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상승폭이 둔화됐다"며 "하지만 상승과 하락의 폭과 지속성은 모두 금리·경기 등 거시경제 흐름에 좌우됐다"고 말했다.
woobi12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