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윤주현 기자 = 서울시가 기존 주택 정비 사업 중심으로 추진된 신속통합기획을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까지 확대한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도심 내 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신속통합기획 및 공공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간다고 9일 밝혔다.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도시정비형 부문)에 따라 도심 내 정비예정구역이 확대되면서, 서울시는 해당 지역에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해 도심 정비와 활성화를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
도시정비형 재개발은 상업지역 등에서 도시기능 회복과 활성화를 목표로 시행하는 정비 방식이다. 공공이 공공정비계획을 수립하고 단위사업별로 민간사업자가 세부 건축계획을 수립한다.
시는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한 공공정비계획을 통해 중심지 기능 복합화, 녹지 생태도심 조성, 직주혼합도시 실현 등과 함께 정책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민간 참여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또 기존 토지이용과 기반 시설 위주의 정비 계획에 가로 활성화 계획 등 건축기획 설계 요소가 종합적으로 반영된 '도시·건축 통합설계 지침'을 마련한다. 특화 디자인이 반영된 건축물의 형태와 콘셉트도 구체화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공공정비계획 수립 이후 '신속통합기획 자문'(Fast-Track)을 적용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정비 방향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공공정비계획 결정 이후 주민이 정비계획 변경을 제안하면, 정비계획과 사업시행계획을 통합심의위원회에서 일괄 심의하고, 요청 시 패스트트랙을 적용해 신속히 사업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2021년 9월 신속통합기획 도입 이후 현재까지 총 169개소에서 기획을 추진 중이다. 서울시는 이번 결정으로 낙후된 도심이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도시경쟁력이 더욱 강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신속통합기획이 도시정비형 재개발로 확대하면서 각종 규제로 침체했던 도심 개발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노후 도심 정비를 앞당겨 서울의 성장과 혁신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gerra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