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는 최근 MBC가 보도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에 대해 "지반침하 위험성이 높다고 판정된 지역이 아니라, 자치구가 점검 필요성을 느껴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목록일 뿐"이라고 9일 반박했다.
시는 이날 MBC가 보도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관련 기사에 대해 해명자료를 통해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각 자치구에 지반침하 우려 지역이 있으면 제출하라고 요청했고, 자치구들이 자율적으로 판단해 낸 목록을 서울시가 취합해 정부에 전달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가 해당 지역을 고위험지역으로 판단하거나 직접 선정한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또한 "지하안전관리법상 자치구는 5년에 한 번 지반 안전점검을 해야 하지만, 예산이나 인력 문제로 점검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국토부가 추가 지원 의사를 밝혔고, 8개 자치구가 점검을 요청해 제출한 목록이 바로 이번 50곳"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MBC는 8일 보도를 통해 "서울시가 지난해 자치구에 의뢰해 고위험지역 50곳을 선정, 정부에 보고했다"고 전했다.
'고위험지역'이라는 표현과 관련해 시는 "노후 상하수도관, 침수이력, 대규모 굴착공사 등 위험 요인을 기준으로 자치구가 점검이 필요하다고 본 구간"이라며 "위험 여부를 수치화하거나 공식 판정한 자료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들 50곳에 대해서는 3월부터 공동조사 특별점검이 진행 중이다. 시는 "4월 말까지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hj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