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지지율 43%, 취임 후 최저…"관세·시그널 게이트 우려"

1기 행정부보다 전반적으로 높지만…경제정책 지지율은 겨우 37%
미국인 절반 "관세, 득보다 실 커"…외교정책 지지율도 34% 불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2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 도착해 에어포스원에서 내리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2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 도착해 에어포스원에서 내리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43%로 지난 1월 취임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지율 하락의 원인으로는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와 이른바 '시그널 게이트'의 여파가 꼽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마감한 로이터와 입소스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43%로, 지난달 21~23일 지지율보다 2%p 하락했고 1월 20일 취임 직후 지지율보다 4%p 떨어졌다. 이번 여론조사는 3일 동안 미국 성인 148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오차범위는 3%다.

전반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1기 때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다. 지난 2017년 1월 1기 행정부 출범 직후 지지율은 49%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았던 지지율은 같은해 12월의 33%였다.

반면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난해 11월 대선 직전에 최저치인 35%를 기록했다.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관세 정책과 경제 문제가 있다. 여론조사 응답자 중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을 지지하는 비율은 37%, 높은 생활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의 노력을 지지하는 비율은 30%에 불과했다.

또한 응답자의 52%는 트럼프 대통령이 2일 발표한 상호관세가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는 말에 동의했다. 거의 같은 비율의 응답자는 관세 인상이 득보다 실이 클 것이라고 답했다. 3분의 1은 관세가 피해를 끼칠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이들은 대부분 공화당 지지자였다.

JD 밴스 부통령,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후티 반군 공습을 민간 메신저 앱인 시그널에서 논의한 '시그널 게이트'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74%가 "무모하다"고 평가했다. 민주당원의 91%뿐만 아니라 공화당원의 55%도 이에 동의했다. "무해한 실수"라는 의견은 22%에 불과했으며, 응답자의 70%가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해서도 혹평했다. 그의 외교정책을 지지한다는 비율은 34%에 그쳤으며, 이는 지난달 21~23일 여론조사에 비해 3%p 떨어진 것이다. 이민 정책에 대한 지지율은 48%였다.

gw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