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1년하고도 하루를 더 근무한 뒤 퇴사하는 직원이 괘씸하다는 글에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A 씨는 지난 9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우리 회사에도 1년 하고 하루 더 근무하고 퇴사하는 직원이 나왔다"며 겪은 일을 전했다.
그는 "일도 그다지 잘한 직원이 아니다. 어제 '이번 주까지 일하겠다'고 하더라"라며 "3월 말까지가 딱 1년인데 1년 하고 5일 더 근무하고 그만둔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연차 15개 소진해야 하므로 오늘까지 일하고 내일부터 회사 안 나와도 된다. 그래도 이번 달 월급에 한 달 치 퇴직금을 더 받는 셈"이라고 했다.
A 씨는 "제도가 이러니 이해합니다만, 새로 직원 구하면 5월 1일 자이므로 나머지 사람들이 연차 15개 땜빵 한 번에 해야 하니 일로 고생한다"며 "15일을 못 쉬게 하면 회사에서 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하니 참"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아무리 근로자를 위한 제도로 간다지만 솔직히 이건 아닌 것 같다. 지난해 연차 11개 챙겨 먹고 1년 하고 하루 더 일하면 연차 15개 생겨서 이것까지 받아먹고 퇴사하는 건 제도적으로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누리꾼들은 "연차수당 아낀다고 쉬라고 해서 쉬어도 난리, 연차 안 쓰면 연차수당 나간다고 난리", "1년 차 신입 업무를 나머지 직원이 나눠 해도 고생을 걱정할 정도면 그동안 신입이 맡은 업무가 얼마나 된다는 거냐", "퇴사자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이런 마인드인 리더 때문에 퇴사자가 발생하는 것", "회사 10년 정도 다니면서 느끼는 건 근로자 권리 막는 건 기업보다 기업에 자아 의탁한 주제도 모르는 저런 사람 같은 근로자다", "내가 퇴사하는데 왜 회사 사정까지 봐줘야 하나", "근로자가 자기 권리 챙기는데 왜 왈가왈부하냐?" 등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각에서는 "솔직히 좋은 소리 듣기 힘든 행동 아닌가?", "저러면 신입 구하는 거나 나머지 사람들은 휴가 쓰기도 힘들어진 건데 좀 그렇다", "이직할 때 레퍼런스 체크할 텐데 그때 재취업 못 해봐야 정신 차릴 듯", "얌체 같다" 등 의견을 내놨다.
sb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