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송이 기자 = 재난지원금을 타기 위해 산불 피해 지역에 전입신고를 한 정황이 포착돼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9일 TBC에 따르면 대표적인 인구 감소 지역으로 알려진 경북 일부 지역에 산불이 일어난 이후 갑자기 주민 숫자가 늘어났다.
경북 영덕은 지난 2020년 9월 이후 53개월 연속으로 주민 등록 인구가 줄어들었는데, 지난달 25일 밤 산불이 덮친 이후 갑자기 감소세가 멈췄다.
산불로 10명이 숨지고 주택 1500여 채가 소실됐음에도 전입신고가 줄지 않고 오히려 늘어난 것.
영덕 A 읍면에서는 산불 발생 다음 날부터 일주일간 발생한 관외 전입이 3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3.6배로 나타났다.
특히 전입신고가 집중된 건 경북도가 지난달 28일 산불 피해 5개 시군의 전체 주민에게 재난지원금 30만 원씩을 지급한다고 발표한 바로 그날부터였다.
심지어는 휴일 인터넷 신청에다 산불로 주택이 전소된 곳을 전입 주소로 적은 경우도 있었다.

산불 피해가 극심했던 안동의 한 읍면 담당자도 "시골이라 인터넷 전입 신고가 1년에 몇 건 없는데 재난지원금 지급 계획이 보도된 날 바로 오전에만 3건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안동과 의성은 인구 감소가 일상화된 지역이지만, 지난달 말을 기준으로 안동은 한 달 새 340명, 의성은 15명 증가했다.
이는 재난지원금과 각종 구호비 지급을 기대한 반짝 전입 효과인 것으로 추정된다.
더구나 경북도가 재난지원금 지급 주민 등록 기준일을 3월 28일로 정하면서 이날까지 전입한 이들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syk1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