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관세 정책에 따른 자국 내 기업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수출업자에 대한 세액공제 신설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7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정부 내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행정부 내에서 이 같은 방안을 두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아직 공식 정책 보고가 이뤄지지는 않았다.
세액공제가 도입될 경우 올해 말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될 예정이다. 공제안 신설을 위해서는 의회 동의가 필요하다.
소식통은 "무역국들의 보복 관세로 인한 미국 수출 제조업체들의 피해를 일부 보전하기 위한 조치"라며 "서비스 수출업체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알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5일부터 모든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최저 10%의 기본관세를 발효했다. 9일부터는 기본관세보다 높은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효된다. 앞서서는 알루미늄·철강·자동차 25% 관세, 중국산 제품에 대한 20% 추가 관세 등을 부과했다.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율 발표 뒤 34%의 보복 관세를 발효했으며, 유럽연합(EU)은 철강·알루미늄 보복 관세안을 설계 중이다.
소식통들은 이번 세금 면제안 도입 여부가 아직 불확실하다고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실제 도입 여부와 관계없이, 이 같은 방안이 논의되는 것 자체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도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방증이라고 봤다.
한편 미국 행정부는 국내 수입업자들을 위한 세금 면제안도 검토하고 나섰다.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수입업체가 부담하도록 돼 있다. 다만 소식통은 "수입업자들을 위한 세금 면제안은 설계하기가 더 까다롭다"고 전했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