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에 애를 태우던 건설업계가 반기는 모습이다. 조기 대선 과정에서 과감한 건설 관련 공약들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다만 차기 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결정될 때까지는 움직임을 최소화할 가능성도 작지 않다.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3월 분양 예정 물량 2만 4880가구 중 분양이 이뤄진 단지는 9699가구로, 분양실적률은 39%다. 일반분양 실적은 47%(8838가구)다.
업계는 탄핵정국 속 소비자들의 관망 심리가 강해지자 그간 분양을 미루며 사업 활동을 줄여왔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탄핵 정국 속 불확실성이 있었던 만큼 분양도 소극적으로 했던 경향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동안 정세 불안으로 잠정 연기됐던 분양 일정이 재개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건설사 입장에서는 미분양이라는 낙인이 찍히게 되면 해소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된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수요자들이 움직일 수 있는 여름 비수기 이후 공급이 집중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건설사들이 당장에 움직임을 보이진 않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차기 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결정되기 전까지는 불확실성이 완전히 가셨다고 볼 수 없어서다. 정권에 따라 방향성이 요동쳤던 만큼 하반기는 돼야 본격적인 활동 재개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탄핵이라는 변수가 사라지긴 했지만, 대선이라는 불확실성이 남았다"며 "당장 반응하기에는 어떤 정책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조금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여야 모두 건설 경기 침체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어 다양한 공약들이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형성되고 있다. 수요 진작이나 미분양 문제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여당은 물론 야당도 실거주 1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완화를 고려하기로 했고, 종합부동산세 납부 유예 신청 대상을 확대하는 세법 개정안은 이미 통과시켰다.
이를 두고 문재인 정부 시절과 같이 부동산을 규제로만 대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은 "건설 경기 침체가 가속하는 상황에서 야당도 규제를 내놓지는 않을 것"이라며 "공급 위주의 대책을 내놓지 않을까 관측된다"고 전했다.
대선 과정에서 추가경정예산을 서두를 수 있어 건설 경기 활성화가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25조 4000억 원)은 지난해보다 1조 원 가까이 삭감된 상태로, 업계에서는 최소 3조 원 이상의 추경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선거 과정인 만큼 여야 모두 적극적으로 추경을 하려고 할 것"이라며 "경기 활성화가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결국 경기를 활성화하려면 시장 수요를 살려줘야 하는데, 지어만 놓고 팔리지 않으면 아무 효과가 없는 것"이라며 "건설사가 사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과 동시에 수요도 진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wns83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