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서울시는 2007년 도입한 장기전세 주택의 임대 의무기간(20년)이 2027년부터 종료됨에 따라 이후 반환되는 물량을 신혼부부를 위한 '미리 내 집'으로 공급한다고 6일 밝혔다. 2027년부터 2031년까지 매년 평균 400가구 이상 공급될 예정이다.
'시프트'라는 이름으로 도입된 공공 임대주택 장기 전세주택은 무주택 중산층이 집을 사지 않고도 주변 시세 80% 내에서 최장 20년간 거주할 수 있는 곳이다.
시는 최근 저출생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해 만기 된 장기 전세주택의 활용 방안으로 '미리 내 집'을 택했다.
'미리 내 집'은 출산 또는 결혼을 계획하는 부부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는 저출생 대책이다. 지난해에는 세 차례에 걸쳐 총 1022가구를 공급했다. 시는 장기 전세 물량을 2027년부터 5년간 매년 400가구 이상 미리 내 집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신혼부부가 장기 전세주택 만기 물량을 활용한 '미리 내 집'에 입주한 뒤 아이를 낳으면 여러 혜택도 제공한다.
시는 입주 후 2자녀 이상 출산한 3자녀 이상 가구의 경우 거주 3년 차부터 넓은 평형으로 이주하도록 시기를 대폭 앞당겨 줄 예정이다.
기존에는 미리 내 집 입주 후 2자녀 이상 출산한 경우, 거주 10년 차에 넓은 평형으로 이주를 지원했다.
또 입주 후 3명 이상 낳은 가구는 10년 살아도 시세보다 저렴하게 집을 사는 '우선 매수 청구권'이 일찍 주어진다. 기존에는 20년 거주해야 권리를 부여했다.
시는 올해부터 '미리 내 집' 공급도 확대한다. 기존 신축 아파트 공급만으로는 주택 수요를 따라가기 어렵다고 보고, 비 아파트 매입 임대주택 등을 활용한다. 신축 아파트를 포함해 올해 3500가구, 내년부터는 연간 4000가구 목표로 확대 공급할 예정이다.
매입 임대주택에 입주한 신혼부부가 출산하면 '미리 내 집'에 우선 이주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특히 올해부터는 시가 보유한 한옥을 활용해 한옥 형태의 '미리 내 집'도 공급한다. 기존 공공한옥 중 협약이 종료되는 가회동 한옥을 등 올해 3곳을 시작으로 매년 2~3곳씩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시는 미리 내 집의 공급을 위반 기반 마련에도 집중한다. 고덕강일 공공주택지구에 미리 내 집 '신혼부부 전용 단지'를 조성해 약 336가구를 공급하고 어린이집·공동육아 공간·돌봄센터 등 맞춤형 커뮤니티 시설도 조성한다. 시는 올해 착공하면 2029년부터 공급 가능할 것으로 본다.
서리풀 신규 택지에도 전체 주택 2만여 가구의 절반이 넘는 1만 1000가구를 미리 내 집으로 공급한다. 2029년 입주자를 모집하면 2031년에는 입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지난해 '미리 내 집'이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고 결혼과 자녀 계획을 세우는데 큰 용기를 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미리 내 집을 더욱 파격적으로 확대해 신혼부부가 마음 놓고 출산과 육아를 할 수 있도록 주택 공급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woobi12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