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일본 정부가 22일 이른바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의 날' 행사에 고위급 인사를 보내기로 하면서 정부도 이에 강력 항의할 방침이다.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이지만 양국 간 여러 영토·역사 이슈로 잡음은 지속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22일 시마네현 마쓰에시에서 개최되는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내각부에서 영토 문제를 담당하는 이마이 에리코 정무관(차관급)을 파견한다. 일본 정부가 해당 행사에 정무관을 파견한 건 2013년 이후 13년 연속이다.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제국 시기였던 1905년 2월 다케시마가 시마네현의 행정구역으로 편입 고시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시마네현은 지난 2005년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해 이듬해부터 매년 2월 22일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올해 행사는 지난해 10월 이시바 시게루 정권 출범 후 처음으로 열리는 것이지만 이미 올해 초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국회 연설에서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망언을 내놓는 등 억지 주장을 계속해서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외교부도 22일 강력 대응할 방침이다. 21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선례에 따라 독도가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임을 강조하는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동시에 오후엔 주말임에도 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를 초치해 엄중히 항의할 계획이다.

다케시마의 날 이후에도 한일 간 잡음이 이어진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매년 3월 초·중·고 교과서에 대한 검정 결과를 발표하는데, 올해는 고등학교 교과서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의 경우 초등학교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 영토라는 억지 주장이 담겼다. 2023년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태평양전쟁 때 조선인 노동자와 위안부 관련 서술에서 '강제성'을 희석하기도 했다.
4월엔 또 태평양전쟁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 춘계 예대제(例大祭·제사)가 예정돼 있다.
일본은 지난 2013년 아베 신조 당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후 현직 총리의 직접 참배는 강행하지 않고 있다. 대신 '마사카키'(真榊·비쭈기나무 화분)라고 불리는 공물을 봉납해 왔다. 하지만 내각 각료들과 국회의원들은 신사를 직접 참배해 '과거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있다'는 비판은 지속되고 있다.
한일 양국은 지난 15일 남산 N서울타워와 도쿄타워를 동시에 점등하는 등 현재 국교정상화 60주년과 관련된 다양한 기념행사를 계획·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양국 외교당국 내에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기도 했다.
하지만 6월 22일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까지 양국 사이에 '영토·역사' 이슈가 줄줄이 이어진다는 점은 시작 전부터 의미가 퇴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부분이다.
ntig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