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뉴스1) 김재식 기자 = 대기 중 수은의 출처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는 지구환경도시공학과 최성득 교수팀이 대기 중 수은 출처와 공간적·계절적 분포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평가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최성득 교수팀의 평가 기술은 고해상도 대기 모니터링과 수은 동위원소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최성득 교수팀에 따르면 수은은 다양한 동위원소가 존재하는데, 이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해 수은의 출처를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평가법으로 울산 지역 대기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30개 지점의 대기를 1년간 채취해 분석했다.
그 결과 울산 지역 수은 농도는 계절과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평균 농도는 여름철이 9.3 ng/m³로 가장 높았으며, 가을철에 가장 낮은 4.4 ng/m³를 기록했다.
비철금속 산업단지에서는 최고 농도인 21.9 ng/m³를 보였는데, 이는 비철금속 산업이 수은의 주요 배출원인임을 시사한다.
계절풍이 수은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름과 봄철에는 남동풍이 우세, 해안가 산단에서 배출된 수은이 울산 내륙으로 확산했고, 가을과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대기 중 수은을 동해상으로 이동시켜 수은 농도가 낮아졌다.
특히, 여름철에는 수은 농도의 73%가 비철금속 산업과 같은 인위적 배출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산업단지가 있는 타지역에 대한 장기 분석을 진행 중이며, 이 분석법은 인접국에서 넘어오는 수은의 기여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은은 과량 노출되면 뇌와 신장 손상, 폐질환, 소화기 이상, 혈압 상승, 피부발진 등을 유발한다. 장기적으로 수은 중독이나 미나마타병을 초래할 수 있는 중금속이다.
이번 연구는 UNIST 조인규 연구원이 제1 저자로, POSTECH 권세윤 교수와 국립수산과학원 임재현 박사, 황동운 박사가 공동 연구자로 참여했다.
jourlkim1839@news1.kr